성경 구약 주석 신약 주석

성경 구약 주석 신약 주석 예루살렘 선교회 안디옥 선교회

예루살렘 선교회

구약/에스겔

[스크랩] 에스겔 41장 주석

예루살렘 선교회, 안디옥 선교회 2015. 2. 8. 18:20

에스겔 41장 주석

 

=====41:1,2

 성소의 현관을 설명한 40:48, 49의 연속되는 기사로 4절까지 현관을  제외한  성소

(1, 2절)와 지성소(3, 4절)의 측량이 언급된다. 여기서 '성소'(*         , 하헤칼)는

특별히 지성소를 제외한 외소(外所), 곧 성소만을 지칭하는 제한적인 의미로 쓰여졌다

(왕상 6:1, 7, Delitzsch). 한편 1절은 문 곁기둥의 동서간의 폭(개역 성경의  '두께'

라는 번역이 적절함)이 각각 육 척씩임을 지시하는 것이며, 2절은 10척의 문과 문  양

쪽 벽의 남북간 폭이 각각 오 척씩임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는 곧 하반절과 광 20척과

일치한다(Cooke). 이러한 측량은 솔로몬 성전의 성소와 같은 것이다(왕상  6:2,  17).

특별히 1절은 원전상 개역 성경에는 생략되어 있는 '성막'(*       , 하오헬)이란  말

이 '성소'와 중복되는 의미로 첨가되어 있다. 이러한 점은 새 성전의  독특한  성격을

지시하고 있다. 즉 '성소'를 의미하는 '하헤칼'은 원어상 '능력있는', '위대한'  등의

뜻을 가진 '야콜'(*     )에서 파생된 말로서 솔로몬 성전과 같은 장엄한 특징을 드러

내 보이는 것이며, '성막'을 의미하는 '하오헬'은 문자 그대로 모세 당시에  하나님께

서 그 백성들과 함께 거하시며 역동적으로 역사하시던 곳이란 뜻을 내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새 성전은 솔로몬 성전과 같은 장엄함을 가질 뿐만 아니라 모세의  성막에서처

럼 결코 백성들을 떠나지 않으시며 친히 인도하시는 구원 사역을  시행하시는  곳임을

암시해준다.


=====41:3,4

  성소의 내전, 곧 가장 거룩한 곳이 될 지성소에 대한 측량이다.

   그가 안으로 들어가서 - 여기서 '그가 들어가서'(*   , 바)란 말은 이제껏  사용된

'그가 나를 데리고'(*            , 예비에니)란 표현과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40:1-3, 17, 28, 32), 선지자를 인도한 천사 혼자서 내전(지성소)에 들어갔다는 의미

이다. 이는 에스겔 선지자의 신분이 제사장이었기에 성소까지는 들어갈 수  있었으나,

대제사장만이 일 년에 한 번 대속죄일 때에야 출입하는 지성소에는(레  16장;히  9:7)

들어갈 수 없었던 사실을 시사한다. 한편 문통의 폭(6척)과 문옆 벽의 폭이 14척(7+7)

이라는 것은 그 남북간의 폭이 성소와 같은 20척(4절)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한다. 결

국 새 성전의 지성소는 장과 폭이 모두 20척인 정방형으로서 솔로몬 성전의  지성소와

동일한 크기이다(왕상 6:20). 특별히 그 문통의 폭이 육 척이라는 본문의 기사에 비추

어 볼 때 현관부터 시작된 각 문의 폭이 16척(40:48 주석 참조), 10척(2절),  6척으로

점점 좁아진다는 사실은 문의 크기와 거룩성의 증대가 반비례한다는 영적 의미를 함축

하는 것이다.


=====41:5

 전 삼면에 골방이 있는데 - 성소와 지성소의 바깥 벽, 남, 북, 서쪽에 연접해 있는

골방들이 11절까지 언급된다. 이 골방들의 규모는 솔로몬 성전의 그것과 비슷하나  약

간의 수치상의 차이를 보인다(왕상 6:5-10). 또한 이 골방들은 성전의 비품과  제사시

의 성구(聖具)들 그리고 십일조와 각종 예물들을 보관하기 위한  장소였다(Schroder).

혹자는 이 방들이 제사장과  레위인의  숙소일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시  134:1,

Thenius). 한편 본절의 '골방'(*     , 첼라)은 원어상 단수로 쓰여졌으나 실질적으로

는 이 골방이 각 층에 30개씩 3층, 곧 모두 90개의 방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된 단수형은 전체 방을 총괄하여 지칭한 것으로 볼 수 있다(Delitzsch).

   광이 각기 사 척이며 - 골반의 남북간의 폭을 말한다.


=====41:6 

골방은 삼층인데...모두 삼십이라 - 개역 성경의 번역은 약간 모호하다. 본 구절의

'골방 위에 골방이 있어'란 말은 곧 3개의 골방이 나란히 상하로 배열되어 있는  상태

를 가리키는 바, 그러한 배열이 성전의 삼면을 둘러서 삼십 번 계속된다는 뜻이다. 영

역본들은 보다 쉽게 '삼층으로 이루어진 방들이 각 층에 삽십 개씩 있다'로  해석한다

(NIV, LB, RSV).

   전 벽 밖으로...범하지 아니하였으며 - 이 골방들은 솔로몬 성전의 그것과 같은 방

법으로 지어졌다(왕상 6:6, 10). 곧 이들은 성전 벽에 접해 있으면서도 일반적인 건축

에서처럼 각층의 대들보가 벽을 뚫고 삽입되어 잇는 것이 아니라(not  inserted  into

the wall..., NIV) 계단식으로 축조된 성전의 외벽 벽에 나무 들보(왕상 6:10)와 함께

얹혀져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축조 방식은 곧 거룩한 하나님의 성전에 외부적  요

소를 허용치 않음으로써 그 거룩성이 침해당하는 것을 철저하게 방지하려는 영적 의도

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Bahr).


=====41:7

  곧 6절에 언급된 성전 외벽의 계단식 축조 방식을 입증하는 구절이다. 곧 본절에서

'높아갈수록'(*                     , 레말라 레말라)은 원어상  '(계단이나  사다리

를) 오리다'란 뜻의 '알라'(*     )에서 파생된 말로서, 이중적인 반복을 통해  3층까

지 계속되는 계단식의 오름을 강조한다. 이는 본절의 말미에  '올라가게  되었더라'란

동일한 말로 반복되고 있다. 또한 그러한 이유에서 그 방들은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넓

어진 것이다.

   전에 가까와졌으나 전의 넓이는 아래 위가 같으며 - 성전의 벽이  6척이나  된다는

점에서(5절) 성전의 내벽은 그대로 두고 성전 외벽에만 터를 만든  사실을  증거한다.

따라서 성전의 벽은 그 윗층으로 오를수록 점점 얇아진다. 여기서는 구체적인  치수가

제시되지는 않았으나 솔로몬 성전에서는 각층마다 1척씩 앓아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왕상 6:6). 한편 성전 벽에 접한 이 방들은 비록 한편에는 다른 벽을 의지하고  있었

지만 그 성소의 일부로 간주되었다.

   골방은 아랫층에서...올라가게 되었더라 - 여기서 '올라가게 되었더라'(*        ,

야알레)란 말 역시 상반절의 '높아갈수록'과 같은 '알라'에서 파생된 말이다.  그러나

그곳에서는 성전 벽의 계단식 축조 방식을 표현하기 위해 쓰여진 것이었던 반면  여기

서는 아랫층에서 윗층으로 계단을 오르는 실제적인 의미로  쓰여진  것이다(Astairway

went up, NIV). 한편 이 계단은 왕상 6:8과 마찬가지고 나선형의 계단을 지칭하는  듯

하다(왕상 6:8 주석 참조).


=====41:8

 전 삼면의 지대...육 척인데 - '고가 6척인 지대'라는 말은 그 골방 건물이 지면과

맞닿아 있는 것이 아니라 지면으로부터 6척 높이의 지대 위에 축조되었다는 의미이다.

이는 그 방들이 속해 있는 성소의 건물 역시 그만한 높이의 지대 위에 있음을 알게 한

다. 이 사실은 40:49에서 성소의 현관이 계단을 오른 후에 있다는 진술과도 일치한다.

한편 혹자는 이를 골방의 높이와도 연결시켜, 각층이 6척의 높이를 가졌으며 이에  따

라  전체  건물의  높이가  지대를  포함하여  총   24척이라고   주장한다(Kliefoth,

Hengstenberg).


=====41:9

  성소에 부속해 있는 골방 건물의 바깥 벽이 5척이란 의미로서, 이는 6척의 성전 벽

(5절)보다 1척이 더 얇다.

   그 외에 빈 터가 남았으며 - 문자적으로는 '그 전에 속한 골방 건물에 남겨진  것'

이란 모호한 의미의 구절이다. 그러나 여기서 '남겨진'이란  뜻의  '문나'(*      )가

'홀로 두다', '제쳐놓다'란 뜻의 '야나흐'(*     )의 호팔형 분사로서, 특별히 건축의

경우에 있어서는 건물이 세워지지 않은 빈 공간을 가리킨다(Delitzsch). 따라서  여타

영역본(NIV, LB, RSV)과 개역 성경이 이를 '빈 터'로 번역했다. 이 단어는 명사형으로

쓰여진 11절에서 더욱 명확한 의미로 나타난다. 또한 델리취(Delitzsch)는 문두에  있

는 접속사 '와우'(* )를 특별히 '그리고 똑같이'라는 의미로 이해하며 그에  따라  이

빈터의 폭 역시 상반절의 외벽의 치수와 같은 5척(11절)이라고 밝힌다.  한편  혹자는

골방 건물 전체를 지칭하는데 쓰여진 '베트'(*     )를 10절에 나타난  '...사이에'라

는 뜻의 '벤'(*     )의 필사상 오류로 보고 본 구절과 10절을 하나님의 절로  이해한

다(Bottcher, Hitzig).


=====41:10

 원전상 문장의 초두에 '그리고 그 방 사이에'(*                   , 우벤  할레솨

코트)라는 말이 첨가되어 있는 바, 여기서 '그 방'은 42:1에 언급된 부속 건물을 가리

킨다. 따라서 '사이에'란 말은 골방 건물과 그 부속 건물 사이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성전 뜰이 남, 북, 서쪽 각각 20척이 된다는 의미이다.


=====41:11

 그 골방 문은 다 빈 터로 향하였는데 - 골방 건물의 출입구가 밖을 향해 있다는 의

미로, 성소와 골방들 사이가 아무런 출입구 없이 철저하게 분리되어 있음을  알게  한

다. 한편 개역 성경의 번역은 각 골방들의 문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오해되기  쉬우

나 여기서의 '골방'(*       , 하첼라)은 5절에서처럼 골방 건물 전체를 일컫는  말이

다. 따라서 이는 하반절과 함께 골방 건물의 출입구가 각각 남쪽과 북쪽을 향해  있는

두 개뿐임을 시사하는 것이다(1, 2절의 성소 도면 참조).

   그 둘려 있는 빈 터의 광은 오 척이더라 - 9절 주석을 참조하라.


=====41:12 

서편 뜰 뒤에 건물 - 문자적으로 '서쪽길 끝의 분리된 지역 앞에 있는  건물'이다.

이러한 표현은 그 건물이 성전과 분명하게 분리되어 있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솔

로몬 성전에도 이와 유사한 건물이 있었으나 그 용도는 확실치 않다(왕하  23:11;대상

26:18). 단지 '분리된 지역'이란 표현과 이 건물을 출입하기 위해서는 성소와  완전히

분리된 길을 사용하였다는 점에 미루어 아마도 성전에서 유출되는 모든 종류의 쓰레기

나 오물을 처리하여 성전 밖으로 내보내기 위한 목적에서 만들어진 일종의 창고로  내

보내기 위한 목적에서 만들어진 일종의 창고로 추측할 수 있다(Delitzsch). 한편 여기

서 광 70척은 동서간의 길이를, 장 90척은 남북간의 길이를 말하는 바, 각 5척의 벽과

함께 그 장은 성소를 포함한 성전 뜰과 광과 같은 100척이다.


=====41:13

  본절부터 15a절까지는 성전의 전체적인 규모가 언급된다.

   전을 척량하니 장이 일백 척이요 - 이는 곧 현관 벽  5척(40:48)+현관  12척(40:49

주석 참조)+성소의 문벽 6척(1절)+성소 40척(2절)+내전 문통 벽 6척(1절)+골방  4척(5

절)+바깥 벽 5척(9절)=100척이 되는 성소 건물의 동서간 길이이다.

   서편 뜰과...장이 일백 척이요 - 이는 성전의 서쪽 외벽부터 서편  건물을  포함한

서쪽의 바깥 성벽에 이르는 길이를 말하는 바, 서쪽 성전 뜰(기즈라) 20척(10절)+서쪽

건물의 동쪽 벽 5척(12절)+서쪽 건물 70척(12절)+서쪽 건물의 서쪽 벽  5척(12절)=100

척이다.


=====41:14

  전면(前面)의 광이 일백 척이요 - 곧 성소와 남북 쪽의 성전 뜰을 포함한 폭이  일

백 척이란 의미인 바, 남쪽 성전 뜰 20척(10절)+남쪽 빈 터 5척(11절)+남쪽 바깥 벽 5

척(9절)+남쪽 골방 4척(5절)+남쪽 성전 벽 6척(5절)+북쪽 골방 4척(5절)+북쪽 바깥 벽

5척(9절)+북쪽 빈 터 5척(11절)+북쪽 성전 뜰 20척(10절)=100척이다.

   동향한 뜰의 광도 그러하며 - 곧 번제단이 있는 성전 앞 뜰의 남북간 광이 100척이

란 의미이다(40:47 참조).


=====41:15

  뒷뜰 뒤에 있는 건물을...일백 척이더라 - 본 구절은 '다락'(*               , 아

티우케하)의 모호함 때문에 두 가지 견해로 대별된다. (1) '다락'이  원어상  '감소하

다'란 기본 어의에서 파생된 '희랑'(통로)이란 뜻을 가진다는 점에서, 여기서의  건물

을 42:5에 언급된 상층으로 갈수록 툇마루(회랑)로 인해 폭이 좁아지는 방들의 건물로

이해한다(Hengstenberg). 곧 이들 건물의 동서간 길이는 성전의 동서간 장과 일치하는

100척이었다. (2) '다락'의 모호함에도 불구하고 그 원어적 의미에  '벽'이라는  뜻이

함축되어 있다는 점에서 여기서의 건물을 12절에 언급된 서편 뜰 뒤의 건물로  이해함

으로써(the building west of the Temple, including its two walls, LB)  본  구절이

그 건물의 길이(90+2X5)를 다시 한번 언급한 것으로 본다(Schroder).


=====41:15-17

  성전(내전, 외전, 현관)과 그에 부속된 건물(삼면의 다락)의 안쪽 벽 모두가  조각

이 장식된(18절) 널판으로 치장되어 있음을 밝힌다. 단지 창문은 이미 닫혀  있었기에

널판을 대지 않았던 것 같다. 한편 혹자는 15b절을 상반절의 '척량하니'란 동사의  계

속적인 수식을 받는 부분으로 생각해 15b절을 '내전과 외전과 그 뜰의 현관을  척량한

것 역시 100척이더라'란 뜻으로 해석함으로써 16절과의 연관성을 배격한다(Delitzsch,

Hengstenberg).


=====41:18,19

  21절까지 성전 곧 성소와 지성소의 내부 장식을 기술한다.

   그룹들과 종려나무를 새겼는데 - 이러한 양식은 솔로몬 성전의 그것과 유사하다(왕

상 6:29 주석 참조). 한편 혹자는 이 조각을 팔레스틴의 고고학 유물에서 발견되는 상

아 조각으로 보기도 하나, 그보다는 솔로몬 성전의 조각에서처럼 그 조각  위에  금을

도련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왕상 6:29-32).

   매 그룹에 두 얼굴이 있으니 - 19절까지 이어지는 조각의 묘사이다. 여기서 그룹의

얼굴은 1장에서 에스겔이 이상 중에 보았던 그룹의 네 모습(사람, 사자, 소,  독수리)

과는 달리 사람과 사자의 두 얼굴 모습만 나타난다. 곧 그 두 얼굴이 서로 반대  방향

을 향하면서 종려나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형상이 전(殿) 사면을 둘러  연속

적으로 조각된 것이다. 한편 사람의 얼굴은 이성과 지혜를, 사자의 얼굴은 힘과  용기

를 각각 상징하는 바, 이들이 승리와 생명의 상징인 종려나무를 향해 있다는 것은  악

의 세력에 대한 절대적이고 선재적인 승리의 확신을 의미하는 것이다. 혹자는 본 구절

에서 그룹의 두 얼굴만이 언급된 것은 이들이 하늘과 땅이라는 창조의 수를  가리킨다

고 이해하여 모든 피조물이 하나님께 봉헌된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한다(Hengstenberg,

Bahr).


=====41:20

 여기서 '성전 벽'은 곧 성소와 지성소의 안  벽을  가리킨다(inner  wall  of  the

Temple, LB). 따라서 본절은 성소와 지성소의 안 벽 모두가 그룹과 종려나무의 연속적

인 조각으로 빈틈없이 채워져 있다는 의미이다.


=====41:21

 외전 문설주는 네모졌고 - 성소의 문기둥에 대한 보충적인 설명이다. 곧 성소의 문

기둥이 솔로몬의 성전에서와 같이 네모지게 만들어진 사실을 부가적으로  기술한다(왕

상 7:5). 한편 이를 비롯해 성전의 전체 규격은 물론 성전의 주요 기물들이 네모 반듯

하게 만들어졌다는 사실(43:16, 17;45:2;48:20;출 27:1;28:16)에 대해,  어떤  학자는

여기서 '넷'이라는 수는 하나님의 온전한 임재를 상징하는 수인 바, 이 하나님의 성소

에서 궁극적으로는 전우주에까지 이르는 하나님의 임재와 그 계시의 완전한 성취를 의

미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Kliefoth).

   내전 전면에 있는 식양은 이러하니 - 혹자는 이 구절을 22절의 '제단'과 연관시켜-

개역 성경의 번역 '곧'과 같이-22절이 본 구절의 구체적인 설명이라고  이해한다(LXX,

Ewald). 그러나 본 구절이 문자적으로 '내전 앞의 형태가 그것의 형태와 같다'란 뜻인

바, 여기서 '내전 앞'(*               , 페네 하코데쉬)은 성소에  들어가는  사람의

눈 맞은 편에 보이는 지성소의 문전을 가리키는 말이며, '그것의 형태'는 곧 상반절에

언급한 성소 문설주의 식양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 구절은 지성소 문설줄의 식양 역시

성소 문설주의 식양과 같이 네모 반듯하다는 의미이다(Delitzsch, Schroder).


=====41:22

'하'(* )가 붙어 새로운 문장을 시작하고 있다는 점(Bottcher)에서 이를 21절과 관

련시키는 개역 성경의 '곧'은 불필요한 첨가이다(21절 주석 참조). 한편 여기서  지성

소 앞 성소의 중앙에 위치한 '나무 제단'은 모세의 성막(출 30:1-6)과 솔로몬 성전(왕

상 7:48)에 있었던 분향단(금향단)에 상응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제단이 솔로몬 성전

에서처럼 불꽃을 견디기 위해 금을 입혔는지는 확실치 않다. 단지 학자들간에 본 성전

과 솔로몬 성전과의 연관성을 비중있게 취급하는 학자는 금 도련의 견해를, 이 제단을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에 대한 상징으로 이해하는 학자들은 순수한 나무 제단으로 이

해한다(벧전 2:24). 이는 또한 본절에서 특별하게 '나무'(*   , 에츠)란 말을  강조적

으로 사용한 사실에서도 유추해 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원전에는  '모퉁이'와  '옆과

면' 사이에 '그 장은'(*       , 아르코)이란 말이 첨가되어 있으나, 이미 상반절에서

그 '장'이 이 척으로 언급되었다는 점에서 이는 그 제단의 '기초'(its  base,  NIV)를

가리키는  '아드노'(*        )에  대한  필사사의  오류로  보기도  한다(Delitzsch,

Schroder).

   이는 여호와의 앞의 상이라 하더라 - 이전 성소에 있던 다른 기물의  언급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나무 제단이 이전의 분향단과 진설병 상의 역할을 함께  담

당하는 것으로 설명한 것이다(Bottcher). 곧 새 성전에 있어서 이 제단 위에 두는  것

은 영적 음식이며 백성들이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란 점에서 이 제단은 '하나님의  상'

(44:16)과 같은 것이며, 그 음식은 진설병 상의 진설병과 같이 하나님의 음식(말 1:7)

이 되는 것이다(Hengstenberg).


=====41:23,24

 성소 안에 있는 두 문(1-4절)에 대한 보충적인 설명이다(왕상 6:31-35). 곧 외소에

속한 문은 현관과 외소(성소) 사이에, 내소(지성소)에 속한 문은 외소와 내소  사이에

각각 위치했으며 그 문들은 모두 두 짝으로 된 여닫이 문이다. 한편 여기서  '접치는'

(*             , 무사보트)은 원어상 '회전하는'이란 뜻을 가지는 바, 개개의 문짝이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알게 한다.  


=====41:25

 성소 안에 있는 두 문(1-4절)에 대한 보충적인 설명이다(왕상 6:31-35). 곧 외소에

속한 문은 현관과 외소(성소) 사이에, 내소(지성소)에 속한 문은 외소와 내소  사이에

각각 위치했으며 그 문들은 모두 두 짝으로 된 여닫이 문이다. 한편 여기서  '접치는'

(*             , 무사보트)은 원어상 '회전하는'이란 뜻을 가지는 바, 개개의 문짝이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알게 한다.  


=====41:26

 현관 좌우편에는...새겼고 - 문자적으로는 '(현관에는) 닫힌 창문이  있고  그리고

종려나무가 새겨진 현관의 좌우편(벽)이 있고'이다. 곧 종려나무가 새겨진 것은 '닫힌

창'을 제외한 좌우편 벽이다(40:16 주석 참조).

   전의 골방과 디딤판도 그러하더라 - 곧 현관에서처럼 전의 골방에도 닫힌 창과  종

려나무 조각이 있으며, 그 디딤판(25절)에도 종려나무 조각이 새겨져 있음을 가리키는

듯하다(Schroder).

출처 : 춘천 대우인력 김진규
글쓴이 : 대우인력 김진규 원글보기
메모 :

'구약 > 에스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에스겔 43장 주석  (0) 2015.02.08
[스크랩] 에스겔 42장 주석  (0) 2015.02.08
[스크랩] 에스겔 40장 주석  (0) 2015.02.08
[스크랩] 에스겔 39장 주석  (0) 2015.02.08
[스크랩] 에스겔 38장 주석  (0) 201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