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구약 주석 신약 주석

성경 구약 주석 신약 주석 예루살렘 선교회 안디옥 선교회

예루살렘 선교회

구약/에스겔

[스크랩] 에스겔 40장 주석

예루살렘 선교회, 안디옥 선교회 2015. 2. 8. 18:20

에스겔 40장 주석

 

=====40:1

 본절부터 시작하는 본서의 마지막 아홉 장은 연대기상 1-39장보다 훨씬 후대에  기

술된 것이며(33:21) 그 내용 또한 전혀 판이한 성격을 가진다. 그래서 혹자는 이 부분

을 지적해 본서가 여러 저자의 기록을 편집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본장 또한 본서의 뒤

에 삽입된 별개의 문서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다음 두 가지 근거를 고려할 때 설

득력이 없다. (1) 본서의 초두(1-3장)에서 포로된 이스라엘 백성을 방문하시는 하나님

의 이상이 본서 후반부(40-48장)에서는 고토로 귀환하여 옛 성읍을 재건하는 이스라엘

백성 중에 거하시는 하나님의 이상으로 나타난다. 이로 볼 때  두  부분(1-39장;40-48

장)은 밀접한 연관이 있다. (2) 성전의 타락으로 예루살렘 성전을 떠난 여호와의 영광

이(8:1-11:25) 재건된 성전으로 다시 돌아오는 광경의 대비적 묘사(43:5)가 두 부분의

일관성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새 성전(40-43장), 새 예배(44-46장), 새 땅(47,  48

장)으로 대별되는 마지막 아홉 장은 고토 귀환과 뒤이어 이어질 이스라엘  회복  사업

(39:25-29)의 궁극적인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1-39장과 매우 밀접한  관계

를 가지며, 나아가서는 본서의 절정인 동시에 결론이라고 볼 수 있다.

   사로잡힌 지 이십 오 년이요 성이 함락된 후 십 사 년 정월 십 일 곧 그 날에 - 이

는 B.C. 573년으로 에스겔 선지자가 소명을 받을 때(B.C. 593)로 부터 약 이십년이 경

과한 시기이다(1:1, 2;33:21). 한편 본 구절은 원전상 '그 해의 시작'(*           

      , 베로쉬 하솨나)이란 구절이 두 문장 사이에 첨가되어 있는 바, 이 구절의  해

석과 '새달'이란 문자적 의미의 '정월'(*     , 호데쉬)의 해석 여하에 따라 두  가지

견해로 대별된다. 먼저 첫 번째 견해는 '그 해의 시작'에 '정월'의 의미를  찾아,  이

'정월'을 이스라엘 종교력상의 첫 달인 '아빕 월'(민간력-7월)로 보는 것이다. 곧  이

때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출애굽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유월절을  예비하던  날인(출

12:3, Havernick, Delitzsch, Schmieder) 동시에 요단 강을 건너 약속의 땅  가나안에

첫 발을 내디딘 의미있는 날이었다(수 4:19). 두 번째 견해는 본 구절의 연도를  B.C.

575년으로 보고, 그 해가 희년이라는 사실에 주안점을 두어 '그 해의 시작'을  '신년'

곧 49년이 지난 후 오십 년째 되는 '희년'으로, '정월'을 1월이 아닌 종교력상의  '첫

달'이란 의미에서 희년을 시작하는 첫달로서의 7월 10일인 '속죄일'(레 25:9)로  이해

한다(Hitzig, Rdak). 곧 이 속죄일은 희년에 이루어질 자유와 회복을 위한 전제로서의

속죄가 행해지는 날이라는 것이다. 이 두 가지 견해중 어느 것을 취해야 할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본 구절에 특정하게 제시된 '그 날'은 사람들에게 보편적으로 잘  알려

진 날이었으며, 회개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함축하고 궁극적인 자유와  회복

의 의미를 내포한 특별한 날이었다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40:2

  극히 높은 산 위에 내려 놓으시는데 - 여기서 '극히 높은 산'은 1장 이하에 언급된

에루살렘의 멸망과는 대조적으로 온전한 회복 속에서 하나님의 백성들이 모여들  거룩

한 산 '시온'을 지시한다(17:22, 23;욜 2:32). 곧 시온산은 본래  기드론과  두로베온

골짜기 사이에 솟아있는 봉우리의 명칭이었으나, 후에 예루살렘 동남쪽에 위치한  '다

윗 성'(왕상 8:1;대하 5:2)을 지칭했으며, 더 후대에는 예루살렘 전체를 가리키는  포

괄적인 명칭으로 바뀌었다(사10:24). 따라서 이 '시온 산'은 곧 새 성전이 있는  예루

살렘을 지칭하는 것이기도 하다. 한편 예루살렘을 이처럼 탁월하게 묘사한 것은  여기

서의 새 성전이 궁극적으로 온전하게 회복될 하나님 나라를 가리킨다는 점에서, 그 나

라의 영광스런  위상을  강조하기  위함이다(사  2:2;미  4:1;계  21:10,  Michaelis,

Delitzsch, Schroder).

   성읍 형상 같은 것 - 혹자는 이것이 실제적인 성읍을 가리킨다고 말하나(Kliefoth,

Havernick) 실제 성읍에 관한 기사는 45:6;48:15, 30에 가셔야 등장한다는 점에서, 이

는 하나님의 도성, 곧 성읍까지를  포괄하는  새  성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히

12:22, Hengstenberg).


=====40:3

  놋같이  빛난  사람  하나가  -  1:7을  염두에  둔  표현으로,  천사를  가리킨다

(Delitzsch). 비록 이 사람이 44:2, 5에서 '여호와'로 불리웠지만 본절에서 유추해 볼

때 여호와의 천사를 가리키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놋'은 성경의 용례상  '견고함',

'확실성'(렘 15;20), '하나님의 공의와 심판'을 상징하는 바, 여기서는 천사의 초자연

적 특성을 암시하고 있다(Hengstenberg).

   삼줄과 척량하는 장대 - 이들을 모두 건축에 필요한 도구들로 먼저 '삼줄'은 긴 공

간을 재는 도구로서 주로 땅의 길이를 잴 때 사용되었으며, '척량하는 장대'는 비교적

짧은 공간 곧 성벽 등의 높이를 잴 때 사용된 도구였다. 따라서 이러한 도구가 언급된

것은 앞으로 기술될 성전의 구조가 극히 세밀하게 제시될 것임을 암시한다. 한편 이들

은  이스라엘의  심판  때  사용된  파괴적  기구들(9:1)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Hengstenberg).

   문에 서서 있더니 - 여기서의 '문'은 에스겔이 남으로  성전을  바라보았다는(2절)

점에서 최초로 다다른 '북문'으로 생각된다. 곧 천사는 그곳에서 에스겔을 '동문'으로

안내했을 것이다(6절, Hitzig, Delitzsch).


=====40:4

눈으로 보고...생각할지어다 - '눈으로 보고'는 성전의 실재성을,  '귀로  듣고'는

천사를 통한 세밀한 성전 구조의 해설을(5절 이하), '마음으로의 생각'은  모든  것을

보고 들은 사실에 근거해 성전의 전체적인 윤곽을 마음속에 그려 볼 수 있었음을 가리

킨다(Schroder). 비록 새 성전이 역사적으로 세워지지는 않았으나, 이미 완성된  것으

로 묘사하여 성취의 확실성을 강조한다.


=====40:5

 이제 본격적으로 새 성전의 구조가 지시되는 바, 본절은 성전의 가장 기본적  요소

인 바깥 성벽에 관한 기사이다.

   집 바깥 사면으로 담이 있더라 - 여기서 '집'은 곧 새 성전을 가리킨다. 한편 '담'

(*       , 호마)은 특별한 보호와 안위를 위한 '방어벽'을 가리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성벽이 성전 바깥쪽을 에워쌌다는 것은 모든 부정한 이방적 요소의 침입을  차단한

다는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는 바, 이 벽은 거룩한 것과 속된 것을 철저하게  구분짓는

경계인 것이다(42:20;시 16:1-6).

   그 장이...육 척이라 - 이는 히브리의 길이 측정 기준 단위인  '규빗'을  설명하는

것으로, 여기에 나타난 규빗은 당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규빗(팔꿈치에서 손가락까지

의 길이-45.6cm)보다 손바닥 넓이만큼 더 긴 왕실 규빗(53.2cm)이다(43:13). 곧 본 구

절의 척량하는 장대는 그 길이가 여섯 왕실 규빗이었다. 한편 이전 솔로몬 성전은  일

반 규빗에 의거해 지어졌다(신 3:11;대하 3:30.

   그 담을...두께가 한 장대요 고도 한 장대며 - 그 장대의 길이가 여섯 왕실 규빗이

라는 점에서 이 성벽의 두께와 높이는 모두 약 3.2m 정도였다. 한편 본 구절의 '담'은

상반절의 '호마'와는 달리 '건물'의 의미인 '하빈얀'(*         )으로  쓰여졌다(42:1

주석과 비교).


=====40:6

  동향한 문에 이르러 층계에 올라 - 6-16절은 성전 바깥 뜰의 동쪽 문에 관한  설명

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성전 동문 단면도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40:7

  문지기 방들이 있는데 - 이 방들(단면도 (3))은 다윗과 솔로몬 시대 당시부터 성전

주변과 문을 수비하기 위해 있었던 경비실(왕상 14:27, 28, guardrooms, LB)과 유사한

것으로 그 크기와 모양은 3평방 미터 정도의  정방형(장,  광이  한  장대)  방이었다

(Havernick). 한편 이 문지기 방은 모든 속되고 가증하고 거짓된  것으로부터  성전을

거룩하게 지키는 영적 의미를 내포한다(계 21:27, Schroder).

   매 방 사이 벽이 오 척이며 - 그 방의 장이 육 척(한 장대)인데 비해 방 사이의 벽

이 오 척이라는 사실은 벽 자체가 오 척이라는 말이 아니라 각 방의 옆벽 사이에 있는

오 척의 공간을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이 공간들은 방과 방 사이를 연결하는  앞벽으

로 막혀 있었다(Kliefoth).

   안 문통 - 이는 6절의 '문 안 통'과 동일한 곳으로(단면도 (5)), '입구 문통'(6절)

에 이은 '현관 문통'을 가리킨다.


=====40:8,9

안 문의 현관을...한 장대며...팔척이요 - 히찌히(Hitzig)와 칠십인역(LXX)은 현관

(단면도 (6))에 대한 측정치가, 8, 9절에서 서로 다르게 기술된 점을 들어 현관의  측

정 기사를 생략해 버린다. 또한 많은 학자들도 이 상이점에 대한  설득력있는  견해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단지 클리포스(Kliefoth)는 8절의 길이를 현관 자체의 길이로,

9절의 길이를 안문의 문기둥(문벽)까지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에서의 현관의 길이로 해

석한다. 이는 하반절에서 그 문벽의 장이 이 척으로 기술된 사실에서 유추한 듯하다.

   그 문벽은 이 척이라 - 여기서 '문벽'(*       , 에일로)은  '단단하다',  '튼튼하

다'란 '아일'(*     )의 복수형인 바, 여기서는 '기둥'(posts, KJV)의 의미보다는  문

을 떠받치기 위해 벽에 박아놓은 '버팀대'(jambs, NIV, RSV)를 가리킨다.


=====40:10

 문지기 방은...셋이 있으니 - '3'이란 숫자가 성경의 용례상 하나님의 숫자란 점에

서(사 6:3;막 9:31;계 9:15) 문지기의 방(도면 (3))이 좌우로 각각 세 개씩 있다는 것

은 곧 하나님께서 직접 성전의 수비자가 되신다는 상징적 의미를 가진다. 한편 본절의

'좌우편 벽'은 9절의 '문벽'과 같은 '버팀대'를 가리키는 말이다.


=====40:11

  처음으로 전 문통의 폭이 십 척으로 제시된다. 한편 '장이 십 삼 척'이란 말은  이

미 그 문통의 장이 '한 장대'(육 척)로 언급되었다는 점에서(6절) 해석상의 난제로 취

급된다.  단지  학자들은  이를  문통의  높이로  추측할   뿐이다(Schroder,   Lyra,

Kliefoth).


=====40:12

 문지기 방 앞에 있는 '퇴'(*       , 게불)를 언급한다(도면 (4)), 이는 그 원어상

의미가 '경계'란 점에서 통로와 문지기 방과의 경계를 짓는  '울타리용  퇴'(barrier,

RSV)를 가리키는 듯하다. 한편 그 장이 일 척이라는 것을 NIV는 11절에서와  마찬가지

로 퇴의 높이로 번역하나, 그보다는 그 방에서 통로쪽으로 접한 길이, 곧 폭의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40:13

  이 방 지붕 가에서...반대되었으며 - 서로 마주 대한 문지기 방이 지붕과 지붕으로

연속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바, 그 남북간의 총폭이 이십 오 척이란 뜻이다.  곧  뒷벽

(1.5척)+문지기      방(6척)+문통(10척)+문지기       방(6척)+뒷벽(1.5척)=25척이다

(Delitzsch).


=====40:14

 원전상의 핵석은 '그 기둥들은 60척이며 그 문 주위에 들이 있어 기둥에까지  이르

렀으며'라고 볼 수 있다(KJV, NIV, LB). 여기서 '기둥들'(*         , 엘림)은 곧  현

관의 기둥들이다. 하버닉(Havernick)은 이 기둥의 60척이란 높이가  무리하다는  많은

주석가들의 이견에 대해 고대 애굽의 오벧리스크 등의 예를 들어 반박하고 그  높이에

걸맞는 전문 현관의 장엄함을 제시한다(Delitzsch, Schroder). 또한 그  사면의  뜰은

현관 안에 별도의 뜰이 있다는 뜻(Hitzig)이 아니라 성전의 바깥 뜰을 가리키는  것으

로, 곧 동문 건물이 성전의 바깥 뜰 안에 건축되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서론  에스겔

성전 도면 참조).


=====40:15

 곧 바깥 문통 6척(6절)+문지기 방 28척(방 6+6+6, 방 사이의 공간 5+5;7절)+안  문

통 6척(6절)+현관 8척(9절)+현관 문벽 2척(9절)=50척이다.


=====40:16

  닫힌 창(*                       , 할로 노트 아투모트) - 좁은 창살로 짜여진 격

자창을 가리킨다(narrow windows, KJV).

   종료나무를 새겼더라 - 종려나무는 성경의 용례상 생명력과 풍요,  영광을  상징한

다. 그러므로 성전 조각에 자주 사용된 소재이다(왕상 6:29-35).


=====40:17-19

 성전 동문에 이어 성전의 바깥뜰이 설명된다. 이후의 설명은 서론 '에스겔  성전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해하라(이하에서 언급되는 성전 도면 번호는  서론에서  언급된

도면의 번호를 의미한다). 본문에서 '박석깔린 땅'(*        , 리체파)은 원어상  '돌

을 깔아 포장하다'란 뜻으로 흙이 묻지 않게 돌을 깐 포도(鋪道)를(대하 7:3)  가리킨

다(성전 도면 (9)), 또한 그 위에 있는 30개의 방(성전 도면 (7))들은 동, 북, 남으로

각각 10개씩 산재(散在)해 있는 것으로 주로 제사장들이 거주하거나 화목제 잔치를 위

해(삼상 9:22, Schroder) 쓰여진 것으로 보인다. 한편 18절은 박석깔린  땅의  위치와

크기를 설명하는 바, 이는 동, 북, 남쪽의 문간 좌우에 성벽 안쪽을 따라 50규빗의 폭

으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특히 서쪽으로는 성전 안뜰의 좌우편까지  이르렀다.  19절은

'아래 문간', 곧 바깥 문의 안문간부터 그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안 뜰의 바깥 문간까

지 이르는 바깥 뜰의 규모이다(100척=약 532m).


=====40:20-23

  내용상으로는 16절에 연결되는 구절로 바깥 동문에 이어 바깥 북문이 언급된다. 이

는 동문의 측량과 동일하다(6-16절 참조). 게단의 수(일곱)를 밝히고 있다(22절).  한

편 23절은 바깥 뜰의 규모를 19절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는 바, 그 바깥 뜰의 규모

가 동, 북, 남쪽 모두 동일함을 밝힌다.


=====40:24-27

  동문, 북문과 동일한 내용의 남문에 관한 언급이다. 특별히 여기서는 문지기  방이

생략되는 대신 각각의 창들과 종려나무 조각이 언급된다(16절).


=====40:28-31

 이제 바깥 뜰로 나가는 세 개의 문에 이어 그 문들에 각각 마주 대하고 있는  안뜰

로 세 개의 문이 37절까지 언급된다. 이들 문들은 바깥 문과 그 측량에  있어서  거의

동일한 바, 단지 그 문에 이르는 계단의 수가 바깥문보다 하나가 더 많은 여덟 개라는

점(22, 26절)과 바깥 문의 현관이 성소쪽 곧 서쪽을 향해 있는 것과는 달리 본문의 현

관은 바깥 문쪽 곧 동쪽을 향해 있어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는 점(9, 15절)만이  다

를 뿐이다(31절). 곧 계단을 제외한 모든 규격이 동일하나 단지 그 배열이 바깥  문과

정반대로 되어 있는 것이다(Delitzsch). 특별히 계단의 수가 하나 더  많다는  사실은

성소으 위상과 그 거룩함에 대한 특별한 신앙적 의미에 기인하는 듯하다. 한편 이러한

문의 언급은 본문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성전과 안뜰을 둘러싼 벽이 있음을  암시한

다. 먼저 본문은 남쪽의 문을 언급하고 있는 바, 이는 선지자가 바깥  남문에서(24-27

절) 곧장 안 뜰의 남문에 이른 사실을 보여준다. 특별히 30절은 현관에  대한  별도의

측량치를 제시하는 바, 이는 해석상의 난제로 등장한다. 따라서 많은 학자들은 이  부

분을 무시해 버렸으며(Michaelis, Bottcher, Ewald, Hitzig,  Maurer)  칠십인역(LXX)

또한 이 구절을 생략해 버렸다.


=====40:32-34

  동문에 관한 언급으로 모든 규격이 남문과 동일하다. 한편 성전 안 뜰까지  이르는

계단의 수가 모두 15(7+8)개인 바, 이는 시편 중에서 성전에 올라가는 시의  편  수와

일치한다(시 120-134편). 이처럼 시 한편과 계단 하나가 서로 상응한다는 사실은 성전

에 나아가는 자가 하나님 앞에 가져야 할 감사와 찬송의 자세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40:35-37

  동일한 방식으로 북문의 규격과 모습이 소개된다.


=====40:38

  안 뜰로 들어가는 새 문을 언급한 데 이어 희생 제사시 제물을 다루는  데  필요한

방과 장비들이 43절까지 기술된다. 본절은 현관의 문벽(*            ,  베엘림),  곧

현관 문기둥 곁에 있는 작은 골방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바, 그 방은 '번제물의  내장

과 다리를 씻는 곳'(레 1:9;대하 4:6, Delitzsch)이거나 '제단에 올려진 제물을  최종

적으로 손질하는 곳'(Schroder)이다.


=====40:39-43

  문의 현관에 위치한 희생 제사용 상(床)이 언급된다. 모두 12개인 이 상들의  위치

는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39-41절에 언급된 8개의 상은 희생 제물을 잡는 데  사용

된 도살용 상이며, 42절에 언급된 보다 작은 4개의 상은 그 희생 제물을 잡을 때 쓰이

는 도구들을 올려놓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이 희생 제사용 상들은 46:2에 비추어 볼 때

는 동문 현관에 위치한 것으로, 40절;46:19 이하에서는 북문 현관에 위치한 것으로 나

타나는데, 하나님께 예배드리러 온 자들이 어느  문(일반  백성-북문,  남문;왕-동문,

46:1, 2)을 통해서도 편리하게 제물을 드릴 수 있도록 세 개의 문 현관 모두에 비치되

어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Delitzsch).

   갈고리가 사면에 박혔으며 - 여기서 '갈고리'(*         , 쉐파타임)는 원어상 '두

다', '걸다'란 뜻에서 파생된 말로 '마구간', '(이중의) 갈고리'를 각각 의미하는 바,

혹자는 이를 희생 제물들을 묶거나 가두기 위한 '마구간'이나 '말뚝'을 가리킨다고 본

다(Gesenius). 그러나 본 구절에서는 그 가죽을 벗기기 위해 제물들을 걸어놓는  두갈

래로 갈라진 갈고리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Delitzsch, Schroder). 이는 '사면에  박혔

으며'란 말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곧 그 갈고리들이 현관 사면 벽에 박혀 있다는 것이

다.


=====40:44-46

 본문은 44절의 '방 둘'(*                      , 리쉐코트 솨림)이 원어상  '뇌하

는 자의 방들'이란 뜻을 가지는 바, 원전상의 해석으로 볼 때 44절은 최소한 3개 이상

의 망을 지칭하는 반면 같은 문맥의 45, 46절은 단 두 개의 방만을 지시한다는 점에서

난해한 점이 있다. 따라서 칠십인역(LXX)과 많은 학자들은 '노래하는 자들'이란  뜻의

'솨림'을 '둘'을 뜻하는 '쉐타임'(*       )에 대한 필사상의 오류로  이해하여  이를

'방 둘'이란 뜻으로 수정하고 있다(Delitzsch). 혹자는 새 성전의 예배에 있어서 노래

하는 자의 위상이 특별하게 규정지워질 것이란 전제 하에 그들이 제사장들과 함께  언

급된 것이라고 이해하여 원전상의 해석을 지지한다(Hengstenberg, Schroder).  그러나

45, 46절은 분명하게 이 두 개의 방이 제사장들만을 위한 것임을 밝힌다.

   성전을 수직하는 제사장 - 본래적으로 성전과 성물들을 관리하는 책임은 레위의 게

르손, 고핫, 므라리 자손들이었으나(민 3:25-38) 새 성전에서는 그 직책마저 사독  게

열의 제사장들에게 위임될 것임을 보여 준다(44:10-16 주석 비교).

   제단을 수직하는 제사장 - 문자 그대로 희생 제사시에 제단에서 수종드는 제사장들

이다.  이  또한   본래는   아론의   후손에게   주어진   직책이었으나(출   27:20,

21;28:1-4;29:9, 44) 새 성전에서는 사독 계열의 제사장들에게만 위임되었다(44:15 주

석 참조).


=====40:47

  그 뜰 - 일명 '제단 뜰'로 불리워지는 곳으로 번제단을 중앙에 둔  정방형의  성전

'안 뜰'을 가리킨다(서론 '성전 도면' 참조).


=====40:48,49

 본격적인 성전 성소의 측량이 41장까지 전개된다. 본문은 그 측량의 초두로서 성전

안 뜰에서 성소로 들어가는 입구에 설치된 현관(성소 도면 (6))을 설명한다(왕상  6:3

비교). 먼저 48절에서 '벽'(*   , 알)은 원어상 문을 지탱하기 위한 '곁 기둥'(jambs,

NIV)을 가리키며, '두께'(*     , 로하브)는 '폭'의 의미인 바, 본문은 그 문의 곁 기

둘의 폭이 좌우편 가각 오 척이고 그곳에 연속된 문의 폭이 좌우 각각 삼 척이란 의미

로 전체 문의 광이 곁 기둥까지 포함하여 총 16척이란 사실을 가리키는 것이다.  한편

이제까지의 장(동서간), 광(남북간)의 개념과는 달리 49절의 장은  남북간의  길이를,

광은 동서간의 길이를 가리킨다(Schroder). 한편 혹자는 49절의 장의 길이인 11을  12

에 대한 필사상의 오류로 생각한다(LXX, NIV, RSV).

   올라가는 층계가 있고 - 많은 학자들이 10개의 게단으로 생각한다(Delitzsch).

   문 벽 곁에는 기둥이 있는데...저편에 있더라 - 문자적으로는 기둥 곁에  또  다른

두개의 기둥이 있다는 의미로, 여기서의 '문 벽'(jambs, NIV)은 48절의  '좌우  벽'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문의 두 기둥을 솔로몬 성전의 야긴, 보아스(왕상 7:15-22)와  같

은 원주형의 기둥(columns)으로 생각할 수 있다(Delitzsch, Hengstenberg).

출처 : 춘천 대우인력 김진규
글쓴이 : 대우인력 김진규 원글보기
메모 :

'구약 > 에스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에스겔 42장 주석  (0) 2015.02.08
[스크랩] 에스겔 41장 주석  (0) 2015.02.08
[스크랩] 에스겔 39장 주석  (0) 2015.02.08
[스크랩] 에스겔 38장 주석  (0) 2015.02.08
[스크랩] 에스겔 37장 주석  (0) 201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