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구약 주석 신약 주석

성경 구약 주석 신약 주석 예루살렘 선교회 안디옥 선교회

예루살렘 선교회

구약/아모스

[스크랩] 아모스 1장 주석

예루살렘 선교회, 안디옥 선교회 2015. 2. 8. 23:33

아모스 1장 주석

 

======1:1

 본절은 예언이 선포된 시기와 저장의 신분, 그리고 예언의 근원을 밝힌다.  이로써

본서의 확호성과 엄정성을 드러낸다.

   유다 왕 웃시야의 시대 곧 이스라엘 왕 요아스의 아들 여로보암의 시대의 지진  전

이 년에 - 아모스는 호세아 선지자와 동시대의 인물로 보인다(호 1:1). 당시에는 여로

보암 2세가 남방 유다까지 세력을 뻗치고 있던 시기로(왕하 14:25) 대단한 번영을  누

리고 있었다. 여기서 언급된 지진이 거의 2세기가 지난 후 스가랴에 의해 다시 언급된

것을 보면(슥 14:4,5), 상당히 큰 지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요세푸스는 웃시야 왕이

성전에 들어가 향단에 분향하려 했을 때 문둥병이 발하게 되었던 시기(대하 26:16-20)

와 같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한 명확한 근거는 없다. 어쩌면 이 지진은 장차  있

을 심판에 대한 하나님의 경고였을지도 모른다(Feinberg).

   드고아 목자 중 아모스가 - '드고아'는 예루살렘으로부터 남쪽으로 약 19km 떨어진

고지대에 위치한 마을로 넓은 들판이 있었고(대하 20:20;렘 6:1), 목양에 좋은 곳이었

다(Jerome, S.R.Driver). 한편 '목자'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노케드'(*      )는 일반

적으로 사용되는 단어 '로에'(*      )와는 달리 털이 많은 양을  키우는  목자이거나

(BDB), 비교적 좋은 양을 키우는 목자로 여겨진다. 이 단어가 모압 왕 메사에게  적용

되기도 했는데(왕하 3:4), 그는 양을 기르고 공급하는 사람이었다(T.E.McComiskey).

   이스라엘에 대하여 묵시받은 말씀이라 - '...가 받은 말씀이라'에 해당하는 히브리

어 '디베레이'(*        )는 어록집과  같은  형태의  책들에서  자주  사용되었고(잠

30:1;31:1;전 1:1;렘 1:1), 고대 히타이트의 봉신 계약 문서에서도 자주 나타난다. 전

문적인 선지자 교육을 받지 못한 아모스는 당시 부패했던 선지자들과는 달리 대중들에

게 참신한 인상을 줄수 있었을 것이다.


======1:2


  저가 가로되 여호와께서 시온에서부터 부르짖으시며 예루살렘에서부터 음성을 발하

시리니 - '부르짖는'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이쉐아그'(*        )는 사자의  부르짖음

에 주로 사용된 단어이다(3:4,8;시 22:13;사 5:29;겔 22:25;호 11:10).  이런  표현은

요엘의 표현과 동일한데(욜 3:16), 사자의 울음 소리보다 더욱 강한 우뢰 소리를 가리

키기도 한다(욥 37:4). 여기서는 '음성을 발하시리니'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이텐  콜

로'(*               )가 병행적으로 사용되어 하나님의 직접적인 간섭으로 인한 권능

을 표현하고 있다. 사실상 하나님의 힘있는 말씀은 어떠한 자연 현상보다 웅장하며 강

력하다.


======1:3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다메섹의 서너가지 죄로 인하여 내가 그 벌을 돌이키지  아니

하리니 - '다메섹'은 아람(수리아)의 수도로 그 국가 전체를 대표하고(사 7:8),  마치

국가의 이름처럼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아람, 수리아, 다메섹은 모두 동일한  의

미로 사용되곤 하였다. 이 지역은 동과 서를 연결하는 관문으로 일찍부터 교역의 중심

지였다. 아합이 통치하던 시대부터 B.C. 8세기까지는 이스라엘과 다메섹간에 적대감이

분출되던 시기였다. 특히 예후가 통치하던 B.C. 9세기 후반에는 수리아가  이스라엘의

영토를 침입하여 이스라엘에게 괴로움을 주었다(왕하 10:32,33). 한편 '서너 가지  죄

로인하여'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알-쉘로솨 피쉐에이 다메세크 웨알-아르바아'(*   

                                               )는 문자적으로는 '세 가지와 네 가

지 죄로 인하여'라고 할 수 있는데, 단지 문자적으로 서너 가지 죄악을 말하려는 것이

라고 보기는 어렵고 당시에 많이 사용되던 수적인 격언(numerical proverb)으로  여겨

진다(JB). 어떤 학자들은 3이 완전한 수인 데다가 하나를 더한 4를 언급하여 아주  많

은 죄를 의미한다고 하였고(Luther, Calvin, Keil, Drive), 두 숫자를  합친  7이라는

수가 완전수이므로 죄로 가득한 상태를 가리킨다고 한다(W.R.Harper). 어쨌든  아모스

는 이 용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6,11,13절;2:1,4,6) 이스라엘과 그 주변  국가들이

저지른 여러 죄악들을 지적하고 있다.

   이는 저희가 철 타작기로 타작하듯 길르앗을 압박하였음이라 - '길르앗'은  우거진

수목이 있었고(렘 22:6,7), 향료로도 유명했다(렘 8:22). 이 지역이 풍요로우며  변경

에 위치하고 있어서 주변 국가들로부터 침략을 많이 받았다. 특히 여호아하스  때에는

수리아가 침공하여 이스라엘 군대를 마치 타작  마당의  티끌같이  만들어버렸다(왕하

13:7). 그들은 이스라엘을 침략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무자비하게 죽이고 비인간적으로

취급했던 것이다.


====1:4


   내가 하사엘의 집에 불을 보내리니 벤하닷의 궁궐들을 사르리라 - 전쟁을 좋아하던

수리아는 결국 황폐하여졌고, 왕조가 단절되고야 말았다.  '하사엘'은  B.C.841년부터

806년까지 수리아를 통치하였다. 그는 본래 엘리야에게 기름부음을 받은 아람  왕이었

고, 왕위에 오르리라는 사실이 예견되었다(왕상 19:15-17). 또한 엘리사는 그가  이스

라엘에게 엄청난 악을 행하리라는 사실을 내다 보았다(왕하 8:12,13). 후에 그는 예후

와 여호아하스가 다스리던 이스라엘을 침공하여 학대하였다(왕하 13:3-7).  한편  '하

닷'(Hadad)은 고대의 폭풍의 신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벤하닷은  '하닷의  아들'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벤하닷'이라는 이름을 가진 왕은 세 명 정도가 있다. (1)벤하닷  I세

는 이스라엘 왕 바아사(B.C.900-860)와 유다 왕 아사(B.C.910-869)와 동시대  살았고,

바아사에게서 많은 땅을 빼앗았다(왕상 15:20). (2)벤하닷 II세는 벤하닷 I세의  아들

이며 아합 왕 때의 인물로 아합 왕을 전사시킨 자로 보인다(왕상 22장). 후에 그는 군

대장관 하사엘에게 살해되었다(왕하 8:7,15). (3)벤하닷 III세는 하사엘의 아들로  이

스라엘을 줄곧 침략하여 승리하다가(왕하 13:3,7,25) 마침내 여로보암 II세 때 패하고

말았다(왕하 14:28). 본절에 나오는 벤하닷은 하사엘에 이어 등장하는 것으로 봐서 아

마도 하사엘의 아들 벤하닷 III세일 것이다(왕하 13:3). 한편 '불을 보내리니'에 해당

하는 히브리어 '웨쉴라흐티'(*            )는 '솰라흐'(*      )에서 온 말로 단순히

보내는 것이 아니라 쏘거나 던지는 모습을 나타내며 그 명사형은 '강력한 무기'를  뜻

한다(BDB). 이런 표현은 전쟁을 가리키는 것으로 본서에  자주  사용되었다(4,7,10,12

절;2:5). '불을 보내리니'와 좋은 대조를 보이는 '사르리라'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웨

에켈라'(*          )는 '먹어치우다', '없애버리다', '찢다'등 강한 의미를 가진 '아

칼'(*     )에서 왔다. 또한, '궁궐'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에르메노트'(*          )

는 궁전을 말하기도 하지만, 요새지를 말하기도 하고 피난처나  은신처를  가리키기도

한다(왕상 16:18). 그러므로 본절은 전쟁을 통해 그 나라의 핵심부이자 최상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궁궐이 완전히 파괴될 것을 말한다.



 =====1:5


 내가 다메섹 빗장을 꺾으며 - '다메섹'에 대해서는 3절 주석을 참조하라.  '빗장을

꺾는다'는 것은 성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관문인 성문이 파괴되어 방어  능력

을 상실한 것을 말한다.

   아웬 골짜기에서 그 거민을 끊으며 벧에던에서 홀 잡은 자를 끊으리니 - '아웬  골

짜기'가 어딘지 분명하지 않지만 수리아와 관계된 것에 비추어본다면, 오늘날의  베카

가 있는 레바논과 안티리바누스 사이에 있는 평원일  가능성이  크다(T.E.McComiskey,

C.L.Feinberg). '벧에던' 역시 장소는 확인하기 어렵고 다만 유프라테스 강변에  위치

한 도시 국가로 B.C. 855년에 앗수르에게 정복당했다. 이 도시들은 모두 다메섹을  대

표하는 도시로 아람 전체를 가리키는 것 같다. '거민'이라고 번역된  히브리어  '요쉐

브'(*        )는 '거주자'(inhabitant)의 의미를 내포하며, 70인역에서도 이런  의미

를 가진 '카토이 쿤타스'(*                        )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단어

가 남성 단수로 쓰였을 경우에는 '권좌에 앉은 이'(who sits  enthroned)라는  의미를

내포하는 것 같다(JB, J. Niehaus). 본 구절에서는 '홀 잡은 자'와 대구를 이루어  후

자의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즉, 본 구절은 다메섹의 모든 실력자와  통치권자

가 진멸될 것을 말한다.

   아람 백성이 사로잡혀 길에 이르리라 - '길'(Kir)은 그 장소가 어딘지 확실하지 않

지만, 수리아의 국가적 근원지였다(9:7). B.C.732년 앗수르의 디글랏 빌레셀 3세가 다

메섹을 침공하여 그 백성들을 이곳으로 옮겼다(왕하 16:6-9).

   이는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아마르 아도나이'(*      

       )는 아모스에 여러 차례 나온다(8,15절;2:3,11,16;3:10,15;4:3,5,6,8-11;5:17,

27;7:16;8:3,11,12;9:8,12,15). 이런 표현은 정언적인 표현으로 아모스의 예언이 여호

와의 권위로 베풀어지는 돌이킬 수 없는 말씀임을 강조한다.


 =====1:6


  가사의...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저희가 모든 사로잡은 자를 끌어  에돔에

붙였음이라 - '가사'의 히브리어 이름은 '아자'(*      )로 '강한 자'(the  strong)라

는 뜻이 있다. 가사는 예루살렘으로부터 서남쪽 약 80km 지점에 위치해 있었으며 블레

셋에서 가장 큰 성읍이자 교통의 요충지였다. 그곳에서 인신 매매가 주로 행해졌을 것

이다. 그만큼 가사는 블레셋을 대표하는 성읍이었다. 블레셋은 무역과 상업을 주로 하

였는데, 그들이 유다를 침략하여 여호람의 가족들과 왕궁의 재물을 약탈했을  때(대하

21:16,17), 많은 사람들을 잡아다가 에돔에 넘겨버렸다. 또한, 산헤립의 유다 침공 때

에도 블레셋으로 피난간 사람들을 헬라인에게 팔아넘기기까지 했다(욜 3:4-6). 그들은

용서받을 수 없는 인신매매를 자행하였고, 특히 하나님의 백성을 에돔에게 팔아넘기는

큰 죄를 범하여 하나님의 심판을 야기시켰다. 블레셋은 웃시야 왕(대하 26:6,7)과  히

스기야 왕(왕하 18:8) 때 크게 파괴되었으며, 그 후 애굽, 바벧론, 헬라의 침입을  받

아 완전히 진멸되었고, 그 후손은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다.


====1:7


  내가 가사 성에 불을 보내리니 그 궁궐들을 사르리라 - '성'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호마트'(*        )는 성읍을 둘러싼 견고한 방어벽을 가리키는 것으로 가사가  상당

히 안전한 성읍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가사는 B.C. 734년에 앗수르의 디글랏  빌레셀

3세에게 점령당하고 말았다. '불을 보내리니 그 궁궐들을 사르리라'는 4절 주석을  참

조하라.

=====1:8


  내가 또 아스돗에서 그 거민과 아스글론에서 홀 잡은 자를 끊고 또 손을 돌이켜 에

그론을 치리니 - '아스돗, 아스글론, 에그론'은 블레셋의 다섯 성읍에 속하는  것으로

(수 13:3;삼상 6:17,18) 사실상 이런 표현은 블레셋 전체를 가리킨다. '거민'에  해당

하는 히브리어 '요쉐브'(*        )는 5절 주석을 참조하라. '끊고'에 해당하는  히브

리어 '웨히키라티'(*              )와 '돌이켜...치리니'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와하

쉬보티'(*                )는 모두 히필형으로 강한 뜻을 나타낸다. 즉, 하나도 남김

없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계속 활동한다는 의미이다.

   블레셋의 남아 있는 자가 멸망하리라 - 앞 구절에 이어 블레셋의 완전한 멸망을 의

미한다.


====1:9


   두로의...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저희가 그 형제의 계약을 기억지  아니하

고 - '두로'는 베니게의 가장 중요한 도시로, 베니게 전체를 향한  예언이다.  두로는

지중해를 앞에 두고 있는 아름다운  항구  도시이다.  이곳은  무역의  중심지였고(겔

27:3-5), 상당히 부유한 편이었다(겔 27:25,33;슥 9:3). 다윗과 솔로몬  왕  시대에는

두로 왕 히람이 이스라엘과 형제의 계약을 맺을 정도로 둘 사이가 돈독하였고, 상대방

백성을 노예로 팔지 말자는 협정을 맺기도 하였다(삼하 5:11;왕상 5:1-12;9:13).

   모든 사로잡은 자를 에돔에 붙였음이라 - 두로는 이스라엘과 맺은 조약을 일방적으

로 파기했고, 이스라엘 백성을 대상으로 인신 매매를 일삼았다. 이러한 죄악으로 인해

많은 선지자들은 두로의 멸망을 예고하였다(사 23장;렘 25:22;겔 26-28;슥 9:3,4).


====1:10


 내가 두로 성에 불을 보내리니 그 궁궐들을 사르리라 - 두로는 선지자들의  예언대

로 B.C.332년 마게도냐의 알렉산더 대왕에게 함락당하고 약 3만명의 백성들은  노예로

팔리고 수천 명의 지도자들이 사형당하였다.


====1:11


  에돔의...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저가 칼로 그 형제를 쫓아가며 긍휼을 버

리며 노가 항상 맹렬하며 분을 끝없이 품었음이라 - '에돔'은 유다의 동남쪽,  사해와

홍해 사이에 있는 광야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모세는 에돔을 가리켜 이스라엘의 형제

라고 하였고(민 20:14), 하나님은 에돔을 침범하지 말고, 미워하지도  말라고  하셨다

(신 2:4,8;23:7,8).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돔은 이스라엘의 진행을 방해하여  이스라엘

이 그들 가운데로 통과하지 못하게 하였다(민 20:14-21;삿 11:17,18).  뿐만  아니라,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을 공격했을 때에는 그들의 앞잡이 노릇을 하여 이스라엘을  곤

경에 빠뜨리기도 했다(옵 1:11-14). 이에 많은 선지자들이 에돔의 멸망을  선포하였다

(사 21:11,12;렘 49:7-22;겔 25:12-14;35:1-15;옵 1:15-21).


====1:12


  내가 데만에 불을 보내리니 보스라의 궁궐들을 사르리라 - '데만'은 에서의 손자의

이름에서 왔다(창 36:11). 이 도시는 에돔 남부에 있었고, 에돔을 대표하는  지명으로

사용되기도 한다(렘 49:20;겔 25:13;옵 1:9). '보스라'는 에돔의 수도로 사해의  남쪽

에 위치해 있었고(창 36:33;렘 49:13), 데만과 마찬가지로 에돔의 명칭으로  대용되기

도 한다(사 34:6;63:1;렘 49:22).


====1:13


   암몬 자손의...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저희가 자기 지경을 넓히고자  하여

- '암몬'은 롯이 작은 딸에게서 낳은 아들 벤암미의 후손들을  지칭하는  이름이다(창

19:38). 암몬 족속은 혈통적으로 이스라엘과 인척이나 다름없었기 때문에 하나님은 이

스라엘에게 명하시기를 그들과 싸우거나 그들을 괴롭히지 말라고 하셨다(신 2:19). 이

런 이유로  이스라엘은  가나안  정복시에도  그들을  피해  다른  길로  나아갔다(신

2:19,37;삿 11:15). 그렇지만 그들은 에돔과 마찬가지로 항상 이스라엘에게  적대적이

었다(신 23:4-6;삿 11:7-9;왕하 24:2;렘 40:14). 암몬 자손들은 영토 확장을 위해  북

쪽에 있는 길르앗을 자주 침공하고, 길르앗에 대해 소유권을 주장했다(삿  11:8,13;삼

상 11:1).

   길르앗의 아이 밴 여인의 배를 갈랐음이니라 - 암몬 자손들은 아람과 동맹을  맺고

이스라엘을 침공하였고(삼하 10:6), 이때 이러한 비인도적인 만행을 저지른  것  같다

(왕하 8:12). 이처럼 산모의 배를 가르는 무자비한 만행에 버금가는 일들이 다른 성경

부분에서도   비일비재하게   나타난다(왕하   8:12;15:16;시   137:9;사    13:16;호

10:14;13:16;나 3:10).


====1:14


   내가 랍바 성에 - '랍바'는 암몬의 수도로 문자적인 의미는 거대한 곳(the  great)

이다. 모압이나 유다의 랍바와 구별하기 위하여 '암몬  족속의  랍바'라고  부른다(신

3:11;삼하 12:126;17:27;렘 49:2;겔 21:20). 오늘날에는 그곳에 암만(Amman)이라는 도

시가 서 있다.

   불을 놓아 그 궁궐들을 사르되 - 본절에서 사용된 '불을 놓아...사르되'라는  표현

은 다른 부분에서 '불을 보내리라'고 표현된 것과 치이를 보인다(4,7,10,12절;2:2,5).

이는 마치 도성 내부로부터 불이 일어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Pusey).

   전쟁의 날에 외침과 회리바람 날에 폭풍으로 할 것이며 - '외침'에 해당하는  히브

리어 '비테루아'(*            )는 전쟁의 외침(수 6:5) 외에도 기쁨의 외침(스 3:12)

이나 나팔 신호(민 10:5)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구절에서는 적군이 랍바 성을  함락시

키려고 달려들면서 소리를 지르는 모습을 묘사한다. 회리바람은 무서운 심판을 상징하

며(시 83:15;호 8:7), 특별히 '폭풍'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사알'(*      )은 대개 하

나님의 진노를 나타내는 것으로(시 83:15;렘 23:19;25:32;30:23), 본절에서는  적군이

쳐들어오는 모습이 성읍을 휩쓸어 버리기에 충분한 위력을  가지고  있음을  묘사한다

(T.E.McComiskey).


====1:15


 저희의 왕은 그 방백들과 함께 사로 잡혀 가리라 이는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  '저

희의 왕'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말캄'(*        )이 어떤 고대  역본들에서는  암몬의

민족신인 밀곰(Milcom, 왕상 11:5,33;왕하 23:13)을 가리키는 '밀콤'(*         )으로

읽히기도 한다(Aquila, Symmachus, Vulgate, Syriac). 그러나, 70인역에서는  '그들의

왕'이라는 뜻을 가진 '호이 바실레이스 아우테스'(*                               )

로 번역되었다. 개역 성경도 후자의 견해를 따랐고, 이 해석이 더 적합하다. 아모스는

암몬 자손이 그들의 왕을 비롯하여 모든 관리들이 사로잡히는 신세가 될 것이라고  예

언한다. 비록 암몬  자손들이  예루살렘의  멸망을  보면서  즐거워하기도  하지만(겔

25:1-7), 얼마 안 되어(B.C. 580년경) 바벧론의 느부갓네살에게 멸망당하고(렘  49:2)

역사 속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다.

출처 : 춘천 대우인력 김진규
글쓴이 : 대우인력 김진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