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구약 주석 신약 주석

성경 구약 주석 신약 주석 예루살렘 선교회 안디옥 선교회

예루살렘 선교회

구약/아가서

[스크랩] 아가 3장 주석

예루살렘 선교회, 안디옥 선교회 2015. 2. 8. 17:03

아가 3장 주석

 

=====3:1

 내가 밤에 침상에서 마음에 사랑하는 자를 찾았구나 - 2:17에 이어 술람미  여인의

말이 계속된다. 여기서 '밤에'의 히브리어 '발레일로트'(*              )는  복수로

서 '밤들에' 또는 '밤마다'(night after night, NEB)로 해서되는데, 이는 사랑하는 연

인 솔로몬 왕을 밤에 계속 찾았음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혹자는 본절에서 술람미  여

인이 꿈속에서(Delitzsch, Lange, Wycliffe) 또는 적어도 현실적인 사건은 아닌  꿈과

같은 상황 속에서 그의 사랑하는 연인을 찾았음을(Delitzsch) 의미한다고 이해한다.


=====3:2

 이에 내가 일어나서 - 1절과 마찬가지로 술람미 여인이 지금 꿈속에서 솔로몬을 찾

으로 나선 사실을 언급한 구절로 보기도 한다(Delitzsch, Wycliffe).  어쨌든  침상에

있다가 이제 밖으로 나선 것은 솔로몬을 필히 만나고 싶어하는 의욕을 더 강렬하게 표

출시키는 행동이라 하겠다.  오늘날 그리스도의 신부된 성도들 또한 좀더 주님과 친밀

한 관계에 들어가기 위해 주님을 간절히 찾는 마음 자세를 지녀야 할 것을  예시한다.

   성중으로 돌아다니며 - '성중'이란 '예루살렘 성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Delit

zsch, Lange).  그러나 혹자는 본 구절의 '성중'이 꼭 예루살렘이 아니라 성벽이 있는

다른 어떤 성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하기도 한다(G. Loyyd  Carr).   그러나

이 견해는 5절; 1:5; 2:7 등을 참조해 볼 때 다소 무리가 따른다.

   거리에서나 큰 길에서나 - '거리'나 '큰 길'은 각각 '쉐와크'(*        )와  '레호

브'(*        )로서 성내의 대로(大路)나 넓은 광장(대하 32:6; 느  8:1)을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을 암시한다.


=====3:3

 성중의 순행하는 자들을 만나서...보았느냐 하고 - 2절은  '만나지  못하였구나'로

끝나는 반면에, 본절은 '...만나서...'로 시작된다.  이러한 시적 기교는 오매불망 연

인을 만나기만을 희구하는 술람미 여인의 내면을 보다 선명하게 드러내 준다(G. L. C-

arr).  본절은 술람미 여인이 야간에 순찰하면서 성 백성들을 보호하는 야경꾼들을 만

나 그녀의 사랑하는 연인을 보았느냐고 묻는 장면이다.  델리취(Delitzsch)는  계속적

으로 본절 역시 1, 2절과 같이 술람미 여자가 밤에 꾼 꿈을 독백 형식으로  말한 것이

라고 주장한다. 물론 본절이 꿈을 회상한 내용이든 실제 행동을 묘사한 것이든, 중요

한 것은 솔로몬을 찾고자 하는 간절함 바로 그것이다.


=====3:4

 내 어미 집으로, 나를 잉태한 자의 방으로 - 고대 근동 지방에서 '어미  집'은  그

집의 여자 식솔들이 거하는  곳으로서 남이 함부로 들어 올 수 없는 장소를      의미했다

(창 24:67; 룻 1:8). 본 구절에서 술람미 여자가 솔로몬 왕을 이곳으로  인도한  것은

사랑하는 이와 비밀스럽고 안락하게 오래도록 함께 있고 싶어서이다.


=====3:5

  예루살렘 여자들아...깨우지 말지니라 - 본절 역시 2:7처럼 술람미 여자가  한말로

이해하는 것이 합당한 듯하다.  본서에는 이와 같은 말이 세 번(2:7; 3:5;  8:4) 나오

는데, 2:7이 사랑의 초기 단계에서 언급된 것인 반면에, 본절은 사랑이  무르익어가는

과정에서 그 사랑의 관계를 계속적으로 지속하고자 하는 간절함  염원을  표현한 말이

라 하겠다.  또한 본절은 일종의 후렴구로서 술람미 여자와 솔로몬       왕의 만남의 갑작

스런 귀결이라는 의미보다는 서로의 사랑이 깨어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3:6

  연기 기둥과도 같고 - 본절은 일반적으로 술람미 여자나 솔로몬 왕이 말한  내용이

아니고 (1) 예루살렘 성의 거민들이 술람미 여인의 가마 행렬을 보고 말한 것(Delitz-

sch, Ewald) (2)11절의 '시온의 딸' 즉 '예루살렘 여자들'(1:5; 2:7)이 술람미 여자의

가마 행렬을 보고 주고 받은 말(Lange)이라고 보는 두 가지 주장으로 나뉜다.  그러나

대체로 볼 때 (2)의 주장이 더 타당한 것 같다.  한편 '연기 기둥'이란  삿 20:40처럼

연기가 솟아오르는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구약 시대 때 화려한 행렬  앞

에서 향을 태울 때 나는 연기의 모습을 말한다(Delitzsch, Wycliffe).  즉 이것은 7절

이하에서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이 예루살렘으로 올라오는 술람미 여자의  혼인  가마

앞에서 향을 태울 때 나는 연기를 암시하는 것이다.  한편 혹자는 이것을  예표론적인

의미에서 그리스도의 신부된 성도(교회)를 보호, 인도하는 성령님의 능력을       가리키는

거승로 보기도 한다.

   몰약과 유향과 장사의 여러 가지 향품으로 향기롭게도 하고 - '몰약'은   향유로서

신부가 타고 오는 가마나 옷에 뿌려져 향기를 발하게 했을 것이다(Lange).  이에 대해

서는 1:13주석을 참조하라. '유향'은 남주 아라비아나 인도 등지에서 자라는 감람과의

방향성 나무에서 채취한 방향성 물질로서 몰약처럼 나무의 수피에 흠집을 내 거기에서

흐르는 수액을 응고시켜 사용했다.   이것은 향의 재료(출 30:34), 희생 제사의  향우

(레 2:1, 2) 등으로 사용되었다.

   거친 들에서 오는 자가 누구인고 - '거친 들'이란 이스라엘의 왕도(王道) 예루살렘

과 여리고 사이의 험준하고 거친 들판을 의미한다(Delitzsch, Lange).   그러나  이는

하나의 상징적인 의미로서 '속박' 또는 '수치'의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Delitzsch).  따라서 본 구절의 의미는 술람미 왕에게 나아오는,즉 영광과 축북의 상

태에서 이제는 이스라엘의 왕도 예루살렘에 거하는 솔로몬 왕에게 나아오는,즉 영광과

축복의 상태로 나아가는 것을 암시한다.  한편 본 구절의 '오는'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올라'(*        )는 '올라오는'의 뜻으로서 낮은 지대에서 높은 곳으로  올라오는 상

태를 말한다(왕상 12:28).


=====3:7

  이는 솔로몬의 연(輦)이라 - 솔로몬 왕 소유의 연을 말한다.  여기 '연'의  히브리

어 '미타'(*        )는 9절의 '연'과는 다르다.  이것은 다리를 뻗고 쉴 수 있는  일

종의 침대 또는 침대의 특성을 가진 가마를 뜻한다.  솔로몬 왕은 이것을 보내어 술람

미 여자를 예루살렘 성으로 데려 오도록 했던 것이다.  한편 솔로몬 왕이 술람미 여자

를 예루살렘 성으로 데리고 오도록 한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서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1) 솔로몬 왕은 가지 않고 가마를 보내어 술람미 여자를 오도록 한 다음 나아가서 마

중했다는 주장(Delitzsch) (2) 솔로몬 왕이 직접 가마를 대동하고 술람미 여자를 함께

가마에 태워 또는 기타 말을 이용하여 데리고 왔다는 주장(Lange)등이다. 그러나 문맥

과 당시의 결혼 특성을 고려하건대 (2)가 더 타당한 듯하다(창 24:1-67;마 25:1-13).

   이스라엘 용사 중 육십 인이 옹위하였는데 - 당시 이스라엘 왕궁에는 왕의  신변을

보호하는 경호원들이 있었다(삼하 23:8). 본 구절에서 술람미 여자의 가마를  호위하

는 자들은 바로 이들 중에서 뽑은 것 같다.  혹자는 본 구절의 호위병 60인은 600명의

왕의 경호원 중 1/10을 선정한 수라고 주장하기도 한다(삼상 27:2; 30:9, Delitzsch).

한편,예표론적 의미에서, 이스라엘 용사들이 술람미 여자를 호위하는 것은 천성(天城)

의 신랑되신 그리스도께 나아가는 교회(성도)를 하나님께서 돌보시고 보호하심을 암시

한다(요 17:12).


=====3:8

  다 칼을 잡고 싸움에 익숙한 사람들이라 - 술람미 여자의 호위병들이 칼을  견고히

잡고 주도 면밀하게 호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싸움에 익숙한 사람들이란 여

러 차례 전투 경험을 쌓아 어떤 위험으로부터라도 가마를 보호할 수 있는 용사를 말한

다(G. Loyyd Carr, Wycliffe).

   밤의 두려움을 인하여 각기 허리에 칼을 찼느니라 - 본 구절의 '두려움'에  해당하

는 히브리어 '파하드'(*       )는 눈앞에 나타난 어떤 객관적 물체에 의한  두려움보

다는 심리적으로 느끼는 주관적 두려움을 의미한다(Lange).  당시 술람미 여자가 살았

던 곳으로 추정되는 수넴에서 예루살렘까지는 약 80km의 거리로서 거칠은 들판을 통과

해야 했으므로 도적들의 기습이나 맹수등으로 인한 만일의 사태 때문에 조마조마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허리'의 히브리어 '예레크'(*       )는 '넓적다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호위병들이 칼을 허리에 차서 넓적 다리에까지 이르게 한 것으로  보인다(ath-

is side, NIV).   아무튼 이는 오늘날 하나님의 사역자들로 하여금 교회를 보호하고 성

도들을 인도하기 위하여 성령의 검인 말씀으로 무장하고 진리의 허리띠를 띠어야 함을

암시한다(행 20:28-32; 엡 6:14; 히 4:12).


=====3:9

  솔로몬 왕이 레바논 나무로...만들었는데 - 본절의 '연'은 '아피리욘'(*

      )으로서 7절의 '연'이 '침대 형태의 가마'를 의미하는 반면, 이는 단순히 '타고

이동하는 가마'를 가리킨다.  솔로몬은 그의 연(가마)을 레바논의 고상한 나무들,  즉

백향목이나 잣나무들로 만들었음을 암시한다.  백향목과 잣나무에 대해서는 1:17 주석

을 참조하라.


=====3:10

 그 기둥은 은이요 - 성경에서 은은 좋은 의미에서 하나님의 백성(겔 22:20-22)  혹

은 성도의 공력(고전 3:12,13)을 상징한다.

   바닥은 금이요 - 일반적으로 금은 성경에서 성도의 연단(욥 23:10), 교회(슥 4:2),

천국(계 21:18) 혹은 거듭난 사람(딤후 2:20)등을 상징한다.

   자리는 자색 담이라 - '자리'는 솔로몬의 연(가마)안의 '좌석'(seat,NIV,RSV)을 의

미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자색'은 고대 왕들이 입는 의복의 색깔이었다(삿 8:26).

이것은 예표론적인 의미에서 볼 때 그리스도께서 '만왕의 왕'(계 19;16)으로서 다스리

고 통치하심을 암시한다 하겠다. 한편 본 구절의 '담'도 '좌석'이란 뜻으로서 원문에

는 없으나 한글 개역 성경에서 '자리'를 반복해 주는 말로 쓰여진 듯하다(its seat o-

f purple, RSV, NEB).

   그 안에는 예루살렘 여자들의 사랑이 입혔구나 - 9절과 본절에서 솔로몬의  가마를

치장한 재료들이 그 가치의 비중상 점층적으로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사랑'이 제일

끝에 언급된다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하겠다.  즉 금보다 고귀한 것은 많지만 사랑보다

귀한 것은 없다는 것이다(Durham).  본 구절에서 연 내부의 예루살렘 여자들의 사랑이

입혀졌다(was paved, NEB)는 것은 솔로몬 왕의 연 내부가 솔로몬 왕을 사랑함으로  보

내준 장식물로 꾸며졌다는 뜻이다(Wycliffe). 이에 대해 RSV 는 '연은 내부적으로  예

루살렘의 딸들에 의해 사랑스럽게 장식되어졌다'(it was lovingly wrought within  by

the daughters of Jerusalem)라고 번역하였다.  한편 예표론적인 의미에서  볼 때 이는

성도들이 신랑되신 그리스도를 온전히 사랑하고 헌신하는 것을 예시한다.


=====3:11

 시온의 여자들아 - 본 구절의 의미는 문자적으로 '시온의 딸들아'이다.  시온은 근

본 예루살렘 남동쪽 기드온 골짜기와 티로페온 골짜기(Tyropeoean valley)사이의 조그

마한 구릉을 말한다.  이는 원래 가나안의 여부스 족속이 거주하던       요새였으나  후에

다윗 왕이 점령해 이곳을 다윗 성이라 칭했다(삼하 5:6-10).  그리고 점차 이는  예루

살렘 전체를 대표하는 명칭으로 사용되었다(시 147;12; 사 3:16; 33:14; 40:9; 미 3:1

2).  따라서 혹자는 본 구절의 '시온의 여자(딸)들'과 동일시하기도 한다(Lange).  그

래서 본 구절은 6절 이하에서 계속 언급되었듯이 솔로몬의 가마 행렬을 목격한 예루살

렘 여자들이 한 말인 바 여기의 '시온의 여자들'이란 '예루살렘 여자들' 전체를  대표

하는 말로 이해된다.

   솔로몬 왕을 보라...그 머리에 있구나 - 본 구절에서 솔로몬 왕은  술람미  여자와

함께 결혼식날 나란히 앉아 있는 신랑으로서의 모습이라 추측된다(Wycliffe).  그리고

'면류관'이란 왕으로서 쓰는 영광과 권세의 왕관이 아니라 결혼식을 하는 자로서 기쁨

과 영예를 위해 쓰는 관이다.  이는 금이나 은 또는 귀한 나무의 가지들 혹은  보석들

로 만들어졌을 것이다(Lange, G. Loyyd Carr).  그리고 이 면류관을 그의 어머니가 씌

웠다는 것은 왕의 대관식 때 대제사장이 그 의식을 주관한 것과는 구분되는 것으로(왕

상 1:32-48; 왕하 11:11-20), 아들의 결혼을 기뻐하여 행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고

대 이스라엘의 결혼 풍습에는 신랑과 신부가 모두 그 머리에 관이나 면사포 등을 썼던

것으로 짐작 된다(창 24:65; 사 61:10).

출처 : 춘천 대우인력 김진규
글쓴이 : 대우인력 김진규 원글보기
메모 :

'구약 > 아가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가 5장 주석  (0) 2015.02.08
[스크랩] 아가 4장 주석  (0) 2015.02.08
[스크랩] 아가 2장 주석  (0) 2015.02.08
[스크랩] 아가 1장 주석  (0) 2015.02.08
[스크랩] 아가 주제별 성경보기  (0) 201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