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엘하 23장
1 이는 다윗의 마지막 말이라 이새의 아들 다윗이 말함이여 높이 올리운 자, 야곱의
하나님에게 기름 부음 받은 자, 이스라엘의 노래 잘하는 자가 말하도다
ㅇ이는 다윗의 마지막 말이라 - 본장의 노래는 22장의 다윗의 시(詩) 다음에 배열되
어 있지만, 이 두 시는 시기적으로 각기 다른 시간대에 저작되었다. 즉, 22장의 시는
다윗이 주변의 이방 국가들을 정복한 직후 곧 그의 이스라엘 통치 초기에 저작된 것인
반면(22:1), 본장의 시는 모든 역경과 좌절을 맛본 다윗 통치 말년 곧 다윗이 자신의
죽음을 눈앞에 두고 저작한 시이다(Thenius, Lange, Hertzberg, Payne). 곧 전장의 시
가 노래의 활기찬 흐름으로 보아 다윗의 최전성기에 기록되었다면, 본장은 그의 인생
을 마감하던 때 곧 범죄 이후 하나님의 공의로우신 섭리와 그와 동시에 베풀어지는 그
분의 사랑에 감격했던 상황을 기록한 것이다. 특히 이 고백적 찬양은 단순한 다윗 개
인의 신앙과 감사를 다룬 것이 아니라, 미래에 완성될 공의로운 메시야 왕국을 예언했
다는 점에서 '선지자적 찬양'이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본 시를 22장과 연
결시켜 같은 종류의 감사시로 보는 카일(Keil)의 입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결국 본시
는 22장의 감사시와는 성격상 다른 것으로서, 모세가 죽기 전에 축복의 시를 지었듯이
(신 33장) 다윗이 임종하기 전에 그의 마지막 소원을 노래한 것이다(Hertzberg). 그러
나 그 소원은 다윗의 개인적인 소원이라기 보다는 성령에 의해 감동된 '메시야적 소
원'으로서, 나단 선지자를 통해 베푸신 '다윗 언약'(7:8-16)에 기초한 소원이었다.
ㅇ이새의 아들 다윗이 말함이여 - 여기서 다윗은 자신을 '이새의 아들'로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이새의 아들'이란 호칭은 사울 왕이 다윗을 비꼬아 말할 때, 나발이 다
윗을 비난할 때, 그리고 세바가 다윗을 대항하여 난을 일으켰을 때 각기 사용한 호칭
이었다(20:1;삼상 20:30;25:10). 따라서 다윗에게 있어서 '이새의 아들'이란 호칭은
'이스라엘의 왕'이란 호칭과는 대비되는 호칭으로서, 결코 명예로운 것이 아니었으며
오히려 그의 보잘것없음과 비천함을 드러내는 호칭이었다. 따라서 다윗은 이 거룩한
노래를 시작함에 있어서, 자신의 어떠한 자랑거리도 나타내지 아니함으로써 오직 거룩
한 하나님의 영광만을 드러내려고 이 호칭을 사용했던 것이다. 한편, 그리고 여기서
'말함이여'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네움'은 특별히 하나님께로부터 직접 받은
말씀과 관련된 말이다. 즉, 이 말은 선지자가 그의 메시지를 전하기 전에 갖추었던 서
론적 형식인 '여호와의 말이니라'에 사용되었던 용어이다. 우리는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이 시가 단순한 서정시가 아니라, 성령의 감동을 받은 다윗이 하나님의 메시지를
시적 형태로 전달한 것임을 알 수 있다(Keil, Pulpit Commentary).
ㅇ높이 올리운 자...기름 부음 받은 자 - 다윗은 본래 양치는 미천한 목동이었으나,
하나님의 은혜로 하나님께 선택되어 하나님의 백성 이스라엘을 다스리는 왕으로 기름
부음 받아 크게 높아진 자가 되었다는 뜻이다(22:34, 44).
ㅇ이스라엘의 노래 잘하는 자 - 실제 다윗은 양치는 소년 시절부터 악기 잘 타는 자
로 이스라엘에서 소문이 나 있었기 때문에, 사울 왕궁의 수금 연주자로도 활동했었다
(삼상 16:16, 19, 23). 그러나 여기서 '노래'는 세속적인 음악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
라, 하나님을 향한 찬송을 의미한다(시 81:3;98:5). 한편 다윗의 이러한 서언은 이전
에 발람이 이스라엘과 열방의 미래에 대해 하나님의 메시지를 선포할 때 그 예언 초두
에 도입한 서언과 유사하다(민 24:3, 4). 이로 볼 때 다윗 역시 선지자적 입장에서 자
신의 노래를 미래적 차원으로 승화시키고자 시도한 것임을 알 수 있다(Keil, Fay).
2 여호와의 신이 나를 빙자하여 말씀하심이여 그 말씀이 내 혀에 있도다
ㅇ여호와의 신이 나를 빙자하여 말씀하심이여 - 여기시 '나를 빙자하여 말씀하심이
여'란 말을 직역하면, '내 안에서 말씀하셨다'는 뜻이다. 즉, 이 구절은 본시를 읊기
바로 직전에 하나님의 영에게 감동된 상황을 설명하는 말이다(Keil). 그러므로 여기서
다윗은 자신의 시가 사적 감정에 의한 노래가 아니라, 하나님의 영에 의해 주장받은
계시적 성격의 노래임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ㅇ그 말씀이 내 혀에 있도다 - 이는 다윗이 자신의 입술을 주장하는 주체가 자신의
감정이나 의지가 아니라, 여호와의 신 곧 성령임을 고백한 말이다. 즉 지금 자신이 성
령의 완전한 지배하에 있음을 고백한 말이다. 이와같은 성령의 완전한 지배를 '성령
충만'이라 부른다(엡 5:18, 19). 그러므로 이것은 다윗의 노래가 신적(神的) 권위를
가질 수 있는 유일한 근거요 충분한 조건이다.
3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말씀하시며 이스라엘의 바위가 내게 이르시기를 사람을 공의로
다스리는 자,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다스리는 자여
ㅇ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말씀하시며 - 이는 참된 선지자들이 그들의 메시지를 전하기
전에 취했던 서론적 형식과 일치하는 말이다. 따라서 이 구절은 여기 소개되는 다윗의
노래의 기원이 하나님이심을 밝혀 주는 구절이다. 한편 '이스라엘의 하나님'이란 이스
라엘을 애굽의 종살이에서 건지시고 그들을 바로의 압제하에서 구원하신 선민의 하나
님이란 뜻으로, 당신의 백성과 맺으신 언약을 신실히 이행하시는 하나님의 구속 사역
을 강조하는 호칭이다. 다윗이 이 시에서 특별히 이 호칭을 사용한 것은 본시가 하나
님의 구속 사역의 주인공이신 의로운 통치자 메시야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ㅇ이스라엘의 바위 - 이 역시 하나님에 대한 비유적 호칭으로서(22:3, 47), 흔들림
없는 하나님의 불변성(不變性)을 강조하는 말이다. 실로 하나님은 거대한 바위 덩어리
같이 영구히 변하지 않으시는 분으로서, '바위'(추르)와 같은 속성을 지니신
다(22:3 주석 참조). 그러므로 본시는 다윗 언약(7:8-16)에 기초한 확신의 시로서, 한
번 약속하신 사실을 결코 변개치 아니하시는 하나님의 불변성 또는 신실성을 강조하고
있다.
ㅇ사람을 공의로...하나님을 경외함으로 다스리는 자여 - 이는 이상적(理想的)인 신
정 국가의 왕의 자세를 보여 주는 구절로서 일차적으로는 다윗 자신을, 그리고 궁극적
으로는 '메시야'(the Messiah)를 가리킨다. 즉 신정 국가의 이상적인 왕은 인간 사회
에 대해서는 정의롭고(렘 23:5;33:15), 하나님을 향해서는 경외심(시 7:8)을 갖춘 바
로 그러한 신앙 인격자라야 했다. 다윗 왕은 바로 이러한 이상적인 신정 국가의 왕이
었다. 그는 백성을 공의로 다스렸으며 하나님을 경외하였다. 따라서 다윗은 역대 유다
왕들을 하나님께서 판단하실 때 그 기준(基準)이 되었다(왕하 14:3;18:3;22:2). 이런
점에서 다윗은 그리스도의 그림자였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여기에 묘사된 이상적인 신
정 국가의 왕은 '그리스도'를 가리킨다. 진정 예수 그리스도는 종교.도덕적으로 무흠
하신 분으로서, 모든 인류를 공의로 판단하실 뿐만 아니라 하나님을 경외한 참된 의미
에서의 이상적인 왕이신 것이다(시 2:1, 2;겔 34:23, 24;사 11:3-5).
4 저는 돋는 해 아침 빛 같고 구름 없는 아침 같고 비 후의 광선으로 땅에서 움이
돋는 새 풀 같으니라 하시도다
ㅇ돋는 해 아침 빛 같고...움이 돋는 새 풀 같으니라 - 여기서 언급된 비유어들의 주
어는 혹자의 주장처럼(Payne, Wordsworth) 3절에 암시되어 있는 '메시야'라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본 구절에는 명확한 주어의 형태가 나타나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
서 이 비유어들의 주어는 비인칭(非人稱) 형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렇게 볼 때 이
비유어들이 묘사하고 있는 대상은 메시야(신정 국가의 이상적인 왕)가 아니라 메시야
가 강림하신 이후의 신세계(新世界)라고 볼 수 있다(Keil, Lange-한글 개역 성경의
'저는'이란 말은 원문에는 없는 단어로서 번역자가 삽입한 것이다). 특히 이처럼 비유
어들의 묘사의 대상이 메시야가 아니라, 메시야의 의로운 통치로 말미암는 신세계라는
사실을 강하게 입증해 주는 단서는 '땅에서 움이 돋는 새 풀 같으니라'는 구절이다.
왜냐하면 이 구절은 메시야(그리스도) 자신 보다는 메시야 통치의 복스런 결과를 의미
한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돋는 해 아침 빛 같고'라는 말도 메시야의 시대에
는 이와 같을 것임을 나타내는 말이다. 곧 메시야의 시대에는 고통과 죄악과 부패의
온갖 어두운 흑암의 밤은 물러가고, 기쁨과 번영과 행복의 찬란한 아침 햇살이 비추이
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 또한 '구름 없는 아침'은 온갖 근심과 염려의 구름이 완전히
걷힌 청명한 하늘처럼, 곧 순수하고 영광스러운 기쁨과 번영을 의미한다. 그리고 '비'
는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의 상징이다(사 44:3). 즉, 비는 초목의 생장을 촉진하는 것
이다. 따라서 이 비후에 내리쬐는 광선은 더욱더 초목을 싱싱하게 자라나게 하는 것으
로, 하나님의 은총과 축복으로 말미암아 새생명이 생명력 넘치게 자라나는 것을 상징
하는 말이다. 이렇게 볼 때 '움이 돋는 새 풀'은 의심할 여지 없이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의 열매를 의미하는 것이다(Keil).
5 내 집이 하나님 앞에 이 같지 아니하냐 하나님이 나로 더불어 영원한 언약을 세우사
만사에 구비하고 견고케 하셨으니 나의 모든 구원과 나의 모든 소원을 어찌 이루지
아니하시랴
ㅇ내 집이 하나님 앞에 이같지 아니하냐 - 이는 3, 4절에서 언급된 메시야, 곧 의로
우신 통치자가 다윗의 집(후손)으로부터 나올 것이라는 다윗의 확신에 찬 말이다. 그
러므로 여기서 다윗은 결코 자기 개인에 관한 사실을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만일
다윗이 이 부분에서 자기의 개인적인 일을 언급했다면, 분명히 7:18에서 보여준대로
겸손히 자기를 낮추었을 것이다(Fries). 아울러 본 구절은 하나님의 '영원한' 언약을
말하고 있으므로, 이 구절이 다윗 자신의 일을 말한 것이라고는 결코 볼 수 없다. 따
라서, 여기서 다윗은 하나님의 언약에 근거하여 4절에 묘사된 신세계가 그의 후손을
통하여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여기 '집'이란
용어는 '후손'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7:11).
ㅇ영원한 언약을 세우사 - 여기서 언약은 7장에 기록된 '다윗 언약'(7:8-16)을 의미
한다. 특별히 여기서 다윗이 '영원한 언약'이라고 표현한 것으로 보아, 분명 다윗은
장차 자신의 가계를 통해 오실 메시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세워질 영원한 나라를
바라보았음이 틀림없다.
ㅇ만사에 구비하고 견고케 하셨으니 - 이는 하나님께서 언약을 이루실 만반의 준비를
다 갖추고 계심을 의미하는 말이다. 여기서 우리는 언약을 세우실 뿐만 아니라, 그 언
약을 이루시기 위해 쉴 새 없이 일하시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발견할 수 있다.
ㅇ나의 모든 구원과...소원을 어찌 이루지 아니하시랴 - 여기서 '나의 모든 구원'은
다윗과 다윗의 집에 약속하신 구원을, '나의 모든 소원'은 하나님의 언약 위에 기초하
고 성령에 감동된 다윗의 거룩한 메시야 소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다윗은 하나님의 영
원한 언약과 그분의 신실성에 근거하여, 이 모든 것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을 확신하고
있는 것이다.
6 그러나 사악한 자는 다 내어 버리울 가시나무 같으니 이는 손으로 잡을 수
없음이로다
ㅇ사악한 자는...가시나무 같으니 - 의로운 왕이 도래할 경우에 있게 될 축복의 측면
을 이미 언급한 다윗은(4절), 여기서 또 다른 측면인 심판의 측면을 언급하고 있다.
즉, 메시야의 강림과 통치는 경건한 자에게는 축복이 되지만, 불경건한 자에게는 심판
이 되는 것이다. 한편 '사악한 자'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벧리야알'은
'무익한 자', '쓸모없는 자', '무가치한 자'라는 뜻으로 곧 하나님을 대적하는 불경건
한 자 및 하나님의 통치에 백해 무익한 자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자는 '다 내
어 버리울 가시나무'에 비유되었는데, 이는 곧 불경건한 자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묘사한 말이다. 즉, 가시나무는 발견되는 즉시로 농부가 밭에서 뿌리채 뽑아 불태우는
쓸모 없는 것으로서(Kimchi), 이는 불경건한 자가 창졸간(倉卒間)에 받을 철저한 심판
을 묘사한다(사 27:4;겔 28:24).
7 그것들을 만지는 자는 철과 창자루를 가져야 하리니 그것들이 당장에
불사르이리로다 하니라
ㅇ철과 창자루를 가져야 하리니 - 가시 나무는 맨손으로 잡을 수 없으므로 도구를 사
용해야 한다는 말이다. 즉, 이 구절은 밭에서 백해 무익한 가시나무를 불태우기 위해
철재(鐵製) 도구를 사용하여 한 자리에 거두어 모으는 장면을 묘사한 말로서, 하나님
의 피치 못할 심판으로 말미암아 멸절당할 불경건한 무리들의 비참한 운명을 보여주고
있다.
ㅇ불사르이리로다 - 여기서 '불'은 하나님의 진노와 그로 인한 심판의 상징이다(마
3:10;13:30;눅 19:27). 결국 사악한 자의 철저한 멸망이라는 냉혹한 심판 선언으로 마
무리 짓고 있는 다윗의 이 노래는 (1) 메시야께서 통치하시고 건설하실 그 나라에서는
불의한 사단의 세력이 완전 소멸될 것과(사 27:4), (2) 메시야의 의로운 통치에 대적
하고, 그 나라를 해(害)롭게 할 무가치한 자에게 임할 심판의 필연성을 깨우치고 있다
(마 25:30).
8 다윗의 용사들의 이름이 이러하니라 다그몬 사람 요셉밧세벳이라고도 하고 에센
사람 아디노라고도 하는 자는 군장의 두목이라 저가 한때에 팔백인을 쳐죽였더라
ㅇ다윗의 용사들의 이름이 이러하니라 - 여기에 소개되고 있는 용사들은 다윗 왕국에
서 크게 활약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윗이 이스라엘의 왕으로 등극하는 데 큰 공을 세
운 600명의 용사들 중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이와 같은 사실을 본 구절과 거의
같은 내용을 기록하고 있는 대상 11:10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거기에 보면 이 용사들
을 '온 이스라엘로 더불어 다윗의 힘을 도와...왕을 삼았으니'라고 기록하고 있는 것
이다. 한편, 본 구절에는 모두 37인의 용사들이 소개된 반면, 대상 11:10-47에는 16명
의 용사들이 추가로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차이는 아마도 몇 명의 용사들의 사망으로
인한 누락과 새로운 명단의 추가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Pulpit Commentary).
ㅇ다그몬 사람 요셉 밧세벱...에센 사람 아디노라고도 하는 자 - 같은 내용의 기록인
대상 11:11에는 '다그몬 사람'이 '학몬 사람'으로, '요셉밧세벱'이 '야소브암'으로 기
록되어 있다. 여기서 '다그몬'은 '학몬'에 대한 오기(誤記)이며, 그리고 '요셉밧세벱'
은 이름이라기 보다는 '밧세벱에 거주하는 자'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그의 본 이름은
'야소브암'이며, '아디노'는 그의 별명이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그는 시글락에서 다
윗과 합류하였으며(대상 12:6), 2만 4천명으로 구성된 정월 첫반(다윗은 상비군을 12
개의 군대로 나누고, 달마다 한번씩 근무하도록 하는 체번제(替番制)를 실시하였다)의
반장이었다(대상 27:2).
ㅇ군장의 두목이라 - 여기서 '군장'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솰리쉬'는 '셋'
이란 의미의 '솰로쉬'에서 파생된 용어로서, 지휘관중의 지휘관, 곧 가장
뛰어난 세 장군을 의미한다(F.R. Fay). 이들은 왕이 전쟁에 참전할 때 병거에서 왕과
함께 있었으며, 왕 주번에서 특수 부대(호위병)를 지휘하였다(왕하 9:25;10:25). 그러
나 이들은 요압이나 아마사가 차지했던 전체 이스라엘 군대의 군장, 곧 '사르'
와는 거리가 있는 직책이었다.
9 그 다음은 아호아 사람 도대의 아들 엘르아살이니 다윗과 함께한 세 용사 중에
하나이라 블레셋 사람이 싸우려고 모이매 이스라엘 사람들이 물러간지라 세 용사가
싸움을 돋우고
10 저가 나가서 손이 피곤하여 칼에 붙기까지 블레셋 사람을 치니라 그 날에
여호와께서 크게 이기게 하셨으므로 백성들은 돌아와서 저의 뒤를 따라가며 노략할
뿐이었더라
ㅇ아호아 사람 도대의 아들 엘르아살 - '아호아'는 베냐민 지파에 속한 사람이다(대
상 8:4). 그리고 '엘르아살'(Eleazar)은 2만 4천명으로 구성된 이월반(二月班)의 반장
이었다(대상 27:4). 그는 야소브암, 삼마와 더불어 다윗의 '솰리쉬'로 활약
하였다<23:8>.
ㅇ블레셋 사람이 싸우려고 모이매 - 같은 병행 구절인 대상 11:13에는 '바스담밈'에
서 접전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바스담밈'은 삼상 17:1에 따르면, '에베
스담밈'(Ephesdammim)이다(Keil). 이 지명은 '피의 경계선'이란 뜻으로, 이스라엘이
블레셋과 무수한 전투를 벌인 곳이었으며, 국경 지역인 엘라 골짜기에 위치해 있었다
(R. Payne Smith). 다윗이 골리앗을 죽인 곳도 바로 이곳이었다.
ㅇ이스라엘 사람들이 물러간지라 - 혹자는 이 구절이 블레셋을 대항하기 위해 진군해
나아가는 이스라엘 군대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Lange, Smith). 그러나
여기서 '물러간지라'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알라'는 '밑에서 위로 올라가다'
란 뜻으로서, 이스라엘 사람들이 고지(高地) 위로 올라간 사실을 묘사하고 있는 것이
다(Thenius, Bottcher). 즉, 이스라엘 사람들은 블레셋의 대단한 진용(陳容)에 놀라
높은 고지 위로 도망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10절 하반절에 기록된 '백성들은 돌아
와서'란 말을 통해서 볼 때 더욱 분명해진다. 이렇게 볼 때, 다윗의 '솰리쉬'(3인의
용사) 중 하나인 엘르아살은 혼자서 적과 싸움을 하였던 것이다(Keil).
ㅇ싸움을 돋우고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하라프'는 '조롱하다', '능욕하
다'는 뜻으로, 세 용사가 블레셋 군의 비위를 건드려 싸우믈 유도해 내는 장면을 묘사
하고 있다(삿 8:15;삼상 17:10, 26, 36, 45).
ㅇ손이 피곤하여 칼에 붙기까지 - 이는 어찌나 칼을 손에 꽉쥐고 많은 적군들을 쳐부
셨던지 손에 쥐가 날 정도의 상태에까지 이르렀다는 의미이다(Keil, Lange).
ㅇ크게 이기게 하셨으므로 - 원어상으로는 '큰 구원을 이루셨으므로'란 뜻이다. 즉
본서 저자는 이날의 승리가 엘르아살을 힘있게 붙드신 하나님으로 말미암은 것임을 강
조하고 있다.
11 그 다음은 하랄 사람 아게의 아들 삼마라 블레셋 사람이 떼를 지어 녹두나무가
가득한 밭에 모이매 백성들은 블레셋 사람 앞에서 도망하되
12 저는 그 밭 가운데 서서 막아 블레셋 사람을 친지라 여호와께서 큰 구원을
이루시니라
ㅇ하랄 사람 아게의 아들 삼마 - 다윗의 3인의 용사 중 하나인 '삼마'(Shammah)는 33
절에서 30인 중 하나로 다시 소개되고 있다.
ㅇ떼를 지어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는 '라하야'이다. 많은 주석가들은
이 말이 '떼를 지어'란 의미의 말이 아니라, '레히'라는 지명을 가리킨다고 주장한다
(Lange, The Interpreter's Bible, Josephus). 특히 이 말이 반드시 지명(地名)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이유는 원문상 뒤어어 지시 부사인 '솽'(거기에)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Thenius, Ewald). 한편, '레히'는 삼손이 나귀의 턱뼈로 블레셋 사람 1
천명을 살해한 유서깊은 곳이다(삿 15:9, 14, 17, 19).
ㅇ녹두나무 - 병행 구절인 대상 11:13에는 '보리'로 기록되어 있다. 아마도 블레셋인
들은 이스라엘의 농작물을 망쳐놓기 위해 이곳에 들어온 듯하다(Pulpit Commentary).
ㅇ백성들은...도망하되 - 여기서 '도망하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누스'는
전투에서 패배하여 달아난다는 의미의 말이다(10:14;왕상 20:30).
ㅇ막아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야칠레하'를 직역하면, '그것을 붙잡
았다'란 뜻이다. 따라서 이 말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뒤쫓아 밭으로 들어온 블레셋 사
람을 삼마가 '뭍잡아' 살해했음을 보여 준다(Keil).
13 또 삼십 두목 중 세 사람이 곡식 벨 때에 아둘람 굴에 이르러 다윗에게 나아갔는데
때에 블레셋 사람의 떼가 르바임 골짜기에 진 쳤더라
ㅇ삼십 두목 중 세 사람 - 이 세 사람은 앞절에 언급된 3인이 아니라 아비새와 브나
야, 그리고 익명의 한 사람이다(18, 22절). 이들은 둘째 3인으로서 이들의 충성은 첫
째 3인(야소브암, 엘르아살, 삼마;8-12절)에 못지 않았으나 능력면에서 첫째 3인에게
는 미치지 못하였다(23절).
ㅇ아둘람 굴 - 이곳은 다윗이 사울 왕의 추격을 피하여 은신한 곳이며, 이곳에서 다
윗은 그의 가족과 다른 동료들과 결합하였다(삼상 22:1, 2). 그 위치는 가드와 베들레
헴의 중간, 곧 가드 남동쪽 약 16km 지점이다. 최근에 성서 고고학자의 탐사로 이곳의
산 중턱에서 약 400명 정도가 거주할만한 큰 동굴 하나가 발견되었다.
ㅇ때에 블레셋 사람의 떼가 르바임 골짜기에 진쳤더라 - 이 구절은 여기에 언급된 블
레셋 전투가 5:17-25절에 기록된 전투와 같은 것임을 보여 주고 있다(Keil). 왜냐하면
양쪽 구절 모두에서 블레셋 사람들이 '르바임 골짜기'에 진을 쳤다고 말하고 있기 때
문이다. 한편 '르바임 골짜기'(the valley of Rephaim)는 예루살렘 서남쪽에 위치한
골짜기이며, 유다 지파와 베냐민 지파의 경계 지역이었다<5:18>. 또한 이 전투는 다윗
이 온 이스라엘의 왕이 된 직후, 통일된 다윗 왕국의 세력을 우려한 블레셋 족속이 선
제 침공함으로써 발발되었다(5:17).
14 그 때에 다윗은 산성에 있고 블레셋 사람의 영채는 베들레헴에 있는지라
ㅇ다윗은 산성에 있고 - '산성'(메추다;stronghold)은 아둘람 근처에 있던
산성(山城)을 말한다. 당신는 다윗이 예루살렘을 정복하기 이전이었기 때문에, 다윗은
천혜(天惠)의 요새지인 예루살렘에 있지 못하였고, 그 대신 아둘람 근처의 산성에서
피신하고 있었던 듯하다(5:17).
ㅇ블레셋 사람의 영채는 베들레헴에 있는지라 - '영채'(맛차브'garrison)는
군부대를 의미하는 말이다(13:23;14:1). 한편 블레셋 사람들은 아마도 길보아 전투(삼
상 31:1-7) 때에 베들레헴을 차지한 듯하다.
15 다윗이 사모하여 가로되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누가 나로 마시게 할꼬 하매
ㅇ다윗이 사모하여...누가 나로 마시게 할꼬 - 여기서 '사모하다'(아와)란 말은 '간절
히 바라다', '열렬히 추구하다', '애태우다'란 뜻으로, 곧 필요로 하는 그 무엇을 위
해 마음이 애타는 상태를 일컫는다. 당시 다윗은 블레셋과의 치열한 전투 와중에 고향
근처에 이르게 되었고, 그는 고향에 대한 향수로 인해 육체와 정신의 피곤에 젖어들게
되었다. 결국 다윗은 고향의 우물 물에 대한 갈증을 애타는 마음으로 호소하게 되었고,
이를 귀담아 들은 둘째 3인의 충정어린 행동이 결행되었던 것이다.
ㅇ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 - 성서 고고학자
리터(Ritter, Geography of Palestine)
에 따르면, 깊은 우물로부터 솟아나오는 이 물은 시원하고 깨끗한 냉수였다. 그러나
당시 다윗이 진 치고 있던 아둘람 근처의 물은 그다지 좋지 않았다. 때문에 그는 깨끗
하고 시원한 이 물을 사모했던 것이다(The Interpreter's Bible, Lange). 유대 전승에
따르면, 이 우물은 베들레헴 북동쪽으로 약 15분 걸리는 지점에 위치해 있었으며, '다
윗의 우물'이란 이름으로 전해 내려왔다고 한다(Keil). 한편, 다윗은 베들레헴 태생으
로(16:2, 18), 어려서부터 이 우물 물을 마시고 자랐다.
16 세 용사가 블레셋 사람의 군대를 충돌하고 지나가서 베들레헴 성문 곁 우물 물을
길어 가지고 다윗에게로 왔으나 다윗이 마시기를 기뻐 아니하고 그 물을 여호와께
부어드리며
17 가로되 여호와여 내가 결단코 이런 일을 하지 아니하리이다 이는 생명을 돌아보지
아니하고 갔던 사람들의 피니이다 하고 마시기를 즐겨 아니하니라 세 용사가 이런
일을 행하였더라
ㅇ충돌하고 지나가서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바카'는 '가르다', '쪼개
다'는 뜻으로(시 78:13;사 48:21;욥 26:8), 이는 세 용사들이 베들레헴에 있던 블레세
의 부대를 정면으로 꿰뚫고 나아갔음을 보여주는 말이다(Keil). 여기서 우리는 세 용
사의 비범한 용맹과 아울러 목숨을 건 충정을 발견할 수 있다.
ㅇ다윗이...그 물을 여호와께 부어 드리며 - 이는 다윗이 이 물을 여호와께 전제물로
드린 사실을 묘사하고 있다. 다윗은 이 물이 용사들의 피와 다름없다는 것을 깨달았
다. 그리하여 다윗은 부하들의 피와도 같은 이 물을 자신이 마시지 않고 온전히 하나
님께 전제물로 바쳐드린 것이다(Smith).
ㅇ이는...피니이다 - 다윗은 부하의 생명이나 마찬가지인 그 물을 하나님께 전제(奠
祭)로 부어 드렸다(16절). 즉 그는 자신의 경솔함을 깨닫고, 그들의 생명의 대가인 물
을 '피'로 간주하여 율법에 따라(레 17:11;신 12:23-27) 한방울도 축내지 않고 하나님
께 헌납하였다. 이 같은 행동은 (1) 인간의 생명은 결코 헛되이 허비되어서는 안되며
(막 3:4), (2) 모든 희생은 생명의 주인이신 하나님께 드려져야 하고(계 12:11;시
36:9), (3) 어떠한 생명이라도 인간의 사악한 욕구 충족에 희생되어서는 안된다는 등
의교훈을 제시해 준다. 하나님은 이웃의 생명과 인격을 존중히 여길줄 아는 자의 생명
과 인격을 또한 보존하신다(잠 14:25a;시 56:13a).
ㅇ마시기를 즐겨 아니하니라 - 그 이유는 '피를 먹지 말라'(레 17:10)는 율법의 조항
을 다윗이 기억하였기 때문이었다. 즉 다윗은 세 용사가 떠온 물은 그들의 생명을 걸
고 떠온 것이므로 그것을 그들의 피로 간주했던 것이다(Keil). 레 17:11 주석 참조.
18 또 스루야의 아들 요압의 아우 아비새니 저는 그 삼인의 두목이라 저가 창을 들어
삼백인을 죽이고 그 삼인 중에 이름을 얻었으니
19 저는 삼인 중에 가장 존귀한 자가 아니냐 저가 저희의 두목이 되었으나 그러나 첫
삼인에게는 미치지 못하였더라
ㅇ그 삼 인의 두목이라 - 여기서 '삼 인'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솰리쉬'는
(1) '군장'(8절)과 (2) '삼 인' 모두로 번역될 수 있는 용어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정
관사 '하'가 붙어 있으므로, 다윗을 위해 베들레헴 성문 곁의 우물 물을 떠온 '그
삼 인'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Pulpit Commentary).
ㅇ그 삼인 중에 이름을 얻었으니 - 여기에서 '삼 인'은 혹자의 견해처럼 야소브암,
엘르아살, 삼마(8, 9, 11절)를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Keil) 아비새, 브나야, 그리고
익명의 뛰어난 한 용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따라서 '아비새'(Abishai)는 제 2 용사단
(솰리쉬)의 두목이 되었다는 의미이다.
ㅇ그러나 첫 삼 인에게는 미치지 못하였더라 - 첫삼 인은 8-12절에 기록된 야소브암,
엘르아살, 삼마를 가리킨다. 한편 '아비새'(Abishai, 삼상 26:6)는 제 이의 삼 인 중
에서는 가장 뛰어난 용사였으나, 첫 삼인의 힘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20 또 갑스엘 용사의 손자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니 저는 효용한 일을 행한 자라
일찌기 모압 아리엘의 아들 둘을 죽였고 또 눈 올 때에 함정에 내려가서 한 사자를
죽였으며
21 또 장대한 애굽 사람을 죽였는데 그의 손에 창이 있어도 저가 막대를 가지고
내려가서 그 애굽 사람의 손에서 창을 빼앗아 그 창으로 죽였더라
22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가 이런 일을 행하였으므로 세 용사 중에 이름을 얻고
23 삼십인보다 존귀하나 그러나 첫 삼인에게는 미치지 못하였더라 다윗이 저를 세워
시위대 장관을 삼았더라
ㅇ갑스엘 용사의 손자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 - '갑스엘'(Kabzeel)은 유다 남쪽에
있는 한 지방이며(수 15:21;느 11:25), 오늘날의 '길벱 호라'(Khirbet Hora)로 추정된
다. 그리고 여호야다는 아론 계통의 대제사장이었다(대상 27:5;12:27). 이러한 여호야
다의 아들 '브나야'(Benaiah)는 다윗 치하에서 그렛과 블렛의 대장(근위 대장)이었으
며(8:18;20:23), 또한 2만 4천 명으로 구성된 제 3월 군대의 장관이었다(대상 27:5).
그리고 브나야는 아도니야의 반역을 분쇄한 공으로 솔로몬 치하에서는 요압 대신 군대
장관이 되기도 하였다(왕상 2:28-35).
ㅇ효용한 일(라브 페알림) - 직역하면 '위대한 행위', '큰 일'이란
뜻이다. 구체적으로 그 '큰 일'은 여기서 세가지로 제시된다. 즉 (1) 모압 아리엘의
아들 둘을 죽인 행위, (2) 눈 올 때에 함정에 내려가서 사자를 죽인 행위, (3) 막대기
로 창을 가진 장대한 애굽 사람을 죽인 행위 등이다.
ㅇ모압 아리엘의 아들 둘을 죽였고 - 여기서 '아리엘'은 누구를 의미하는가 ? 이에
대한 견해는 둘로 나뉜다. (1) 혹자는 '아리엘'이 '신(神)의 사자(獅子)'
란 의미로서, '아리엘의 아들 둘'은 '사자같이 용맹스런 두 용사'를 의미한다고 주장
한다(Keil, Lange). 또한 이에 대한 증거로서 지금도 아랍인들과 페르시아인들은 매우
뛰어난 용사를 가리켜 '아리엘'이라 부른다고 한다(Bochart). (2) 반면 혹자는 '아리
엘'이 모압 왕의 이름일 것이라고 추측한다(Smith, Ewald, Thenius). 따라서 이 두 사
람은 모압 왕 아리엘의 아들들(왕자들)일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원문상으로, 본
구절에는 '아들'이란 단어가 들어있지 않다(한글 개역 성경에서 이 용어를 삽입한 것
임). 따라서 이 견해를 따를 경우 '아리엘의 두 사람'이라는 애매한 말이 된다. 이렇
게 볼 때 우리는 (2)의 견해 보다는 (1)의 견해를 따르는 것이 더 좋을 듯하다.
ㅇ눈 올 때에...한 사자를 죽였으며 - 팔레스틴의 사자는 페르시아 산(産) 사자에 속
한다. 한편 구약 시대에 사자의 출현은 매우 흔했다. 따라서 성경은 사람이 사자에게
물려 죽은 사례들을 여려 군데에서 기록하였다(왕상 13:24;20:36;왕하 17:25). 이 사
자들은 추운 날 눈이 많이 내려 먹이가 궁해지면 민가로 내려와 사람들을 먹이로 삼았
다. 따라서 사람들은 이러한 식인 사자를 잡기 위해 함정(큰 구덩이)을 만들곤 하였는
데, 그때에 갈고리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였다(겔 19:4, 8). 그런데 '브나야'는 맨몸으
로 '함정'(보르-'큰 구덩이')으로 뛰어들어가 사자를 때려잡은 것이다(삿
14:6;삼상 17:34-36).
ㅇ장대한 애굽 사람 - 병행 구절인 대상 11:23에 보면, '그 사람의 키가 다섯 규빗이
요 그 손에 든 창이 베틀채 같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고대 성경의 도량법상 1규
빗이 대략 45.6cm이므로, 그의 키는 무려 2m 30cm에 이른다. 이러한 자를 브나야가 막
대기 하나로 대결하여 그 장대한 애굽 사람의 손에 든 창을 빼앗아 그 창으로 찔러 죽
임으로 이겼다고 하니, 우리는 여기서 브나야의 용맹과 괴력을 능히 짐작할 수 있다.
ㅇ다윗이 저를 세워 시위대 장관을 삼았더라 - 시위대는 왕의 근위대를 의미하며, 이
는 사형 집행 기관인 '그렛' 부대와 왕명을 급히 전달하는 '블렛' 부대로 구성되었다
<8:18>.
24 요압의 아우 아사헬은 삼십인 중에 하나요 또 베들레헴 도도의 아들 엘하난과
ㅇ아사헬은 삼십 인 중에 하나요 - '아사헬'(Asahel)은 요압과 아비새의 아우이자 다
윗의 조카로, 그 발이 들노루 같이 빠른 용사였다(2:18). 그는 이스보셋의 군장 아브
넬을 추격하다가 그의 창에 찔려 죽었다(2:23). 그런데 그가 삽십 인 중에 속하였다고
하였으므로 삼십 인의 구성은 최소한 그의 죽음 이전에 이루어진 것이 분명하다. 그런
데 아사헬은 다윗의 헤브론 치세 때 곧 사울 왕가의 이스보셋과의 내전 중에 전사했으
므로, 30인의 구성은 다윗이 유다 지파의 왕으로 즉위한 직후 얼마 후에 이러어졌을
것이다(The Interpreter's Bible).
ㅇ엘하난 - 여기 도도의 아들 '엘하난'(Elhanan, 대상 11:26)은 21:19의 야일의 아들
엘하난과는 다른 인물이다(Keil).
25 하롯 사람 삼훗과 하롯 사람 엘리가와
ㅇ하룻 사람 삼훗 - '삼훗'은 원문상으로는 '삼마'이나, 대상 11:27의 삼훗과 일치시
키기 위해 여기서도 삼훗으로 번역되었다. 물론 그는 11절의 삼마와는 다른 인물이다
(Keil). 왜냐하면 삼마는 하랄 사람이나, 삼훗은 하룻 사람이기 때문이다. 한편 '삼
훗'은 대상 27:8에 기록된 5월 장관 삼훗과 동일 인물로 여겨진다.
ㅇ엘리가 - 역상에는 그의 이름이 빠져있다. 아마도 '엘리가'(Elika)는 삼훗과 함께
하룻 사람이므로 생략되었을 것이다(Lange, Pulpit Commentary).
26 발디 사람 헬레스와 드고아 사람 익게스의 아들 이라와
ㅇ발디 사람 헬레스 - '발디'는 유다 남쪽 벧-벧렛 근처이며(수 15:27;느 11:26),
'헬레스'(Helez)는 7월 장관이었다(대상 27:10). 한편 역대기에는 '블론(발론) 사람'
이라고 표기되어 있는데(대상 11:27;27:10), 아마 착오인 듯하다(Fay, Keil).
ㅇ드고아 사람 익게스의 아들 이라 - '드고아'는 베들레헴 남동쪽의 요새화된 성읍이
며, 유다 광야에 속해 있다(대상 2;24;암 1:1). 그리고 '이라'(Ira)는 6월 장관이었다
(대상 27:9). 한편, 그는 다윗의 대신이었던 야일 사람 '이라'와는 다른 인물이다
(20:26).
27 아나돗 사람 아비에셀과 후사 사람 므분내와
ㅇ아나돗 사람 아비에셀 - '아나돗'은 베냐민 지파 내에 있는 레위인의 성읍이다. 이
곳은 제사장의 성읍으로서, 아비아달의 출생지요(왕상 2:26) 선지자 예레미야의 고향
이기도 하다(렘 1:1;수 21:18;사 10:30). '아비에셀'(Abiezer)은 9월 장관이었다(대상
27:12).
ㅇ후사 사람 므분내 - '므분내'는 '십브개'의 오기(誤記)이다.
왜냐하면 21:18과 병행 구절인 대상 11:29에서 모두 '십브개'로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
다. 한편 '십브개'(Sibbechair)는 블레셋 거인 '삽'을 죽였으며(21:18), 다윗 군대의
제 8월 장관이었다(대상 27:11).
28 아호아 사람 살몬과 느도바 사람 마하래와
ㅇ아호아 사람 살몬 - '살몬'(Zalmon)은 '엘르아살'과 같이 베냐민 지파 아호아 출신
이며(9절), 그의 이름이 대상 11:29에서는 '일래'로 소개되어 있다.
ㅇ느도바 사람 마하래 - '느도바'는 베들레헴 부근 동북쪽에 위치한 곳이며(스 2:22;
느 7:26), 이곳에는 레위인의 향리가 있었다(대상 9:16). 오늘날의 '베이트 나티프'
(Beit Nattif)로 추정되나(Robinson), 확실치는 않다. 한편 '마하래'(Maharai)는 10월
장관이었으며(다상 27:13), 유다 지파 출신이었다.
29 느도바 사람 바아나의 아들 헬렙과 베냐민 자손에 속한 기브아 사람 리배의 아들
잇대와
ㅇ바아나의 아들 헬렙 - '헬렙'(Heleb)은 대상 11:30에서는 '헬렛'으로, 그리고 대상
27:15에서는 '헬대'로 소개되었으며, 그는 옷니엘의 후손으로서 12월 장관이었다.
ㅇ기브아 사람 리배의 아들 잇대 - 여기 베냐민 사람 '잇대'(Ittai)는 가드 사람 잇
대(15:19)와 다른 인물이다. 대상 11:31에서는 '이대'로 소개되어 있다.
30 비라돈 사람 브나야와 가아스 시냇가에 사는 힛대와
ㅇ비라돈 사람 브나야 - '비라돈'은 에브라임 지파의 땅이며, 오늘날의 나블루스
(Nablus) 남서쪽 페라타(Ferata) 마을이다(삿 12:13). 물론 여기 '브나야'(Banaiah)는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20절)와는 다른 인물이다.
ㅇ가아스 시냇가에 사는 힛대 - '가아스' 시내는 에브라임 산지에 있는 가아스 산의
한 시내를 의미한다(수 24:30). 따라서 '힛대'(Hiddair)는 에브라임 지파이다(Keil).
한편, 대상 11:32에서 그는 '후래'로 소개되어 있다. 아마 이러한 착오는 '달렛'
과 '레슈'의 혼동으로부터 야기되었을 것이다(Smith).
31 아르바 사람 아비알본과 바르훔 사람 아스마�(아스마웨ㅅ)과
ㅇ아르바 사람 아비알본 - '아르바'는 유다 광야에 속한 저지대 아라바 광야인데(수
18:18), '벧 아라바'로도 불리워진다(수 18:22;15:61). 한편 '아비알본'(Abialbon)은
대상 11:32에서는 '아비엘'로 소개되었다.
ㅇ바르훔 사람 아스마웽 - '바르훔'은 '바후림'으로 여겨진다(Keil, Lange, Smith).
'바후림'은 예루살렘 동북쪽 약 6km 지점이며, 이곳은 베냐민 지파의 성읍이었다
(3:16;16:5). 한편 대상 11:33에서는 '바하룸'으로 나타나 있다.
32 사알본 사람 엘리아바와 야센의 아들 요나단과
ㅇ사알본 사람 엘리아바 - '사알본'은 '사알빔'과 동일한 지역으로 여겨지며, 이곳은
단 지파에게 할당된 아모리 족속의 성읍이었다(삿 1:35;왕상 4:9). 제롬(Jerome)은 이
곳을 벧세메스와 아얄론 주변으로 보았는데, 제롬이 말한 이곳은 오늘날의 '셀비트'
(Selbit)로 알려졌다.
ㅇ야센의 아들 요나단 - 병행 구절인 대상 11:34에는 '하랄 사람 사게의 아들 요나
단'으로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는 역대기의 기록이 정확한 것으로 보인다(Keil).
33 하랄 사람 삼마와 아랄 사람 사랄의 아들 아히암과
ㅇ하랄 사람 삼마 - 여기 '삼마'(Shammah)는 11절에서 소개된 다윗의 첫 3인 중 한
사람인 삼마와 동일 인물이다(Fay, Smith).
ㅇ아랄 사람 사랄의 아들 아히암 - 대상 11:35에서 '아히암'(Ahiam)은 '사갈'의 아들
로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아랄' 사람도 역대기에서는 '하랄' 사람으로 표기되어 있
다.
34 마아가 사람의 손자 아하스배의 아들 엘리벨렛과 길로 사람 아히도벨의 아들
엘리암과
ㅇ마아가 사람의 손자 아하스배의 아들 엘리벧렛 - 마아가는 바산 북동쪽 헬몬 산 서
남쪽에 위치한 아람 소국이었다<10:6>. 다윗은 이곳을 정복하고 이곳의 용사 엘리벧렛
을 30인 용사에 박탁하였다. 한편 혹자들(Keil, Fay)은 (1) 역대기의 기록(대상
11:35, 36-'울의 아들 엘리발과 므게랏 사람 헤벧')과 (2) 본절의 특이성, 즉 '~손자~
아들'로 주부까지 표기되어 있다는 점 등에 근거하며, 본절은 두 이름이 혼재되어 있
는 것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그들은 본절을 '울의 아들 엘리발과 마아가 사람 헤벧'로
해석한다.
ㅇ길로 사람 아히도벧의 아들 엘리암 - 길로 사람 '아히도벧'은, 한때 다윗의 모사였
으나 배반하고 압살롬의 반역에 가담한 '아히도벧'을 가리킨다(15:12). 또한 '엘리암'
(Eliam)은 우리아의 처 밧세바의 아버지였다(11:3;23:34;대상 3:5).
35 갈멜 사람 헤스래와 아랍 사람 바아래와
ㅇ갈멜 사람 헤스레 - '헤스레'(Hezrai)는 대상 11:37에서는 '헤스로'로 소개되어 있
다. 그리고 '갈멜'은 헤브론에서 남쪽으로 약 10km 떨어진 유다의 성읍이다(수 15;55;
삼상 15:12;25:2, 40;27:3;30:5).
ㅇ아랍 사람 바아래 - '아랍'은 헤브론 근방에 있는 유다의 산악 지대이다(수
15:52). 한편, 대상 11:37에서는 "에스배의 아들 나아래'로 소개되어 있다.
36 소바 나단의 아들 이갈과 갓 사람 바니와
ㅇ소바 나단의 아들 이갈 - 대상 11:38에서는 '나단의 아우 요엘'이라고 기록되어 있
다. 한편 '소바'는 다메섹 북쪽과 레바논 산지 동쪽에 위치했던 아람 소국(小國)이다.
이 나라는 다윗의 세력에 도전했다가 크게 패배하였다(8:3). 다윗은 이 나라를 정복하
고 이 나라 출신 '이갈'(Igal)을 30인의 용사로 발탁한 것이다.
ㅇ갓 사람 바니 - 대상 11:38에서는 '하그리의 아들 밉할'이라고 소개하였다.
37 암몬 사람 셀렉과 스루야의 아들 요압의 병기 잡은 자 브에롯 사람 나하래와
ㅇ암몬 사람 셀렉 - '셀렉'(Zelek)은 암몬 출신으로 이방인이었으나, 다윗에 의해 30
인 용사로 발탁되었다.
ㅇ요압의 병기 잡은 자 브에롯 사람 나하래 - '브에롯'은 기브온의 성읍이었으며 후
에 베냐민 지파에 속하였다(수 9:17;18:25;삼하 4:2). 따라서 '나하래'(Naharai)는 기
브온 족속일 가능성이 있다(The Interpreter's Bible). 한편, '병기 잡은 자'란 의미
는 '부관', '경호원', '호위병'이란 의미이다(삼상 14:1;16:21;31:4).
38 이델 사람 이라와 이델 사람 가렙과
ㅇ이델 사람 이라와...가렙 - 여기서 '이델'은 기럇여아림 족속에 속한 한 족속이다
(대상 2:53). 따라서 '이라'(Ira)와 '가렙'(Gareb)은 둘다 기럇여아림의 이델 출신이
다. 물론 여기의 '이라'는 다윗의 대신(大臣)이었던 야일 사람 '이라'와는 다른 인물
이다(20:26).
39 헷 사람 우리아라 이상 도합이 삼십 칠인이었더라
ㅇ헷 사람 우리아 - '우리아'(Uriah)는 다윗이 범한 밧세바의 남편이자(11:3) 다윗의
충신이었으나, 다윗의 책략으로 모살당했다(11:14-17). 한편 '헷'은 가나안 족속으로
서 이방 족속이었다(창 10:15).
ㅇ도합이 삼십 칠 인이었더라 - 본문(24-39절)을 따를 경우 용사의 수는 도합 31인이
된다. 그런데 여기 37인이라는 수는 다음과 같이 산정되었을 거시다. 첫째, (1) 첫 3
인의 용사단(8-12절)과 (2) 둘째 3인의 용사단(13-23절) 및 (3) 세째 그룹의 31인의
용사단(24-39절)의 수효를 합하여 산정했을 경우이다(R. Payne Smith). 혹은 둘째,
(1) 첫 3인의 용사단(야소브암, 엘르아살, 삼마;8-12절)과 (2) 둘째 3인의 용사단
(13-23절) 중 그 이름이 밝혀진 2명(아비새, 브나야)과 (3) 그리고 세째 그룹(24-39
절) 중 수정된 본문(34절)에 따를 경우에 산정되는 32인의 수효를 합한 경우이다
(Keil). 한편 이 용사들의 명단에는 '요압'(Joab)의 이름이 빠져 있다. 그 이유로서
우리는 (1) 요압이 전군(全軍)의 군대 장관이었기 때문에 생략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Lange, The Interpreter's Bible). (2) 그러나 또한 요압은 헌신적으로 충성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브넬과 압살롬, 그리고 아마사 등을 살해하는 무자비한 행동을
하였고, 아울러 솔로몬 왕을 대적하는 반란에 가담하였기 때문에 본 명단에서 삭제되
었으리라는 추측도 무시할 수 없다(Wycliffe Bible Commentary).
'구약 > 사무엘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무엘하 (24 : 1~25) 주석 (0) | 2015.02.07 |
---|---|
[스크랩] 사무엘하 (22 : 1~51) 주석 (0) | 2015.02.07 |
[스크랩] 사무엘하 (21 : 1~22) 주석 (0) | 2015.02.07 |
[스크랩] 사무엘하 (20 : 1~26) 주석 (0) | 2015.02.07 |
[스크랩] 사무엘하 (19 : 1~43) 주석 (0) | 201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