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구약 주석 신약 주석

성경 구약 주석 신약 주석 예루살렘 선교회 안디옥 선교회

예루살렘 선교회

구약/사무엘하

[스크랩] 사무엘하 (17 : 1~29) 주석

예루살렘 선교회, 안디옥 선교회 2015. 2. 7. 15:03

사무엘하 (17 : 1~29)

 

1 아히도벨이 또 압살롬에게 이르되 이제 나로 하여금 사람 일만 이천을 택하게 하소서
오늘 밤에 내가 일어나서 다윗의 뒤를 따라

ㅇ오늘 밤에 내가 일어나서 다윗의 뒤를 따라 - 여기서 '오늘 밤' 은 다윗 왕이 예루
살렘에서 급히 도망가고(15:14-16) 압살롬이 예루살렘에 입성한 바로 그날
(15:37;16:15)밤을 가르킨다(Keil and Delitzsch Commentary,Vol,2.p.429).따라서 아
히도벧(Ahithophel)의 이와 같은 모략(謀略)은 다윗에게 약간의 쉴 겨를도 주지말고
바로 뒤따라가 다윗을 처치 하자는 계략이었다. 사실 이러한 아히도벧의 상황 판단은
아주 정확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당시 다윗은 피곤한 몸으로 바후림(또는 아예핌) 부
근에서 쉬고 있었는데. 그곳은 예루살에서 밤 사이에 충분히 도착하고도 남는 요단강
근처였기 때문이다. 16:14 주석 참조. 그러므로 만일 압살롬이 아히도벧의 모략대로
정예군을 급파 하였더라면 다윗은 꼼짝 못하고 칼에 죽을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Wycliffe).

2 저가 곤하고 약할 때에 엄습하여 저를 무섭게 한즉 저와 함께 있는 모든 백성이
도망하리니 내가 다윗왕만 쳐 죽이고

ㅇ약할때에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르페 야딤'은 직면하면 '손
들이 무력해질 때' 란 뜻이다. 그런데 여기서 '손들'이란 말은 성경의 용례들을 살펴
볼때 대개 '힘'을 상징하는 말이다(레 12:8;14:21,32;민6:21;신3:24;16:10;시89:48;겔
8:1).로 의역#쇤긔).
ㅇ저와 함께 있는 모든 백성이 도망하리니 -이와 같은 아히도벧의 예견(豫見) 또한
아주 정확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지금 다윗을 따르고 있는 무리들은 소수의 시위병들
과 육백인의 용사들(15:18)을 제외하고는 모두 다 무장하지 아니한 오합지졸(烏合之
卒)이거나 선량한 백성들 뿐이었기 때문이다. 15:17 주석 참조. 따라서 압살롬의 정예
부대가 엄습(掩襲)할 경우 아히도벧의 예견대로 이들은 모두 혼비 백산(魂飛魄散)하여
흩어질 것이 분명하였다. 우리는 여기서 아히도벧의 놀라운 통찰력을 보게 된다.
ㅇ다윗왕만 쳐 죽이고 - 다윗 왕만을 쳐 죽이겠다는 아히도벧의 이같은 모략은 치밀
한 계략에서 나온것이었다. 즉, 아히도벧은 지금 이스라엘 백성의 대다수가 압살롬을
지지하고 있으며(15:12), 현실적으로 실제적인 왕위 계승권자였기 때문에(대상 3:1-9)
무의미한 살인을 감행할 필요가 없다고 계산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단지 다윗 왕만
처치하면 백성들은 자연스럽게 압살름의 지휘하로 몰려들게 될 것 이라는 것이 아히도
벧의 치밀한 계산이었다. 우리는 여기서 다시 한번 이사도벧의 무서울 정도로 치밀한
지랴(智略)을 발견하게 된다. 하지만 실상 이것은 하나님의 권위에 대한 침해로서 하
나님의 진노를 자극하는 것이었다는 데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아히도벧이 제거하려
한 다윗은 하나님께서 기름 부어 세우신 이스라엘의 왕이었기 때문이다(삼상
16:1-13).

3 모든 백성으로 왕께 돌아오게 하리니 무리의 돌아오기는 왕의 찾는 이 사람에게
달렸음이라 그리하면 모든 백성이 평안하리이다

ㅇ모든 백성으로 왕께 돌아오게 하리니 - 여기서 '모든 백성'이란 온 이스라엘 백성
을 의미하는 말이 아니라 당시 다윗왕을 추종하던 세력들을 의미하는 말이다. 16:15
주석 참조. 따라서 본절로 보아 아히도벧은 다윗이 사망한 이후에는 다윗왕을 추종하
던 자들일 지라도 이미 사망한 왕을 더이상 따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아히도벧은 '돌아오게 하다'는 말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곧
그가 다윗의 추종자들을 국가의 반란자들로 그리고 압살롬의 정권(政權)을 정통성 있
는 정권으로 인정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시사해 준다. 즉 아히도벧은 이갈은 용어를 사
용함으로써 압살롬에게 은연 중 아부하고 있었던 것이다(Keil,Lange) 한편, 70인역
(LXX)에서는 본절 다음에 '마치 신부가 자기 남편에게로 돌아옴과 같이...'이란 구절
을 첨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말은 압살롬을 신랑에다, 국가 또는 백성들을 신부에다
비유한 것으로 곧 압살롬의 비위를 맞추기 위한 아히도벧의 낯 간지러운 아첨이라고
볼 수 있다(Ewald,Thenius,Pyne) 그러나 이 구절이 원문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아서 정
말로 아히도벧이 이러한 말을 했는지는 알 수 없다(Keil,Lange).
ㅇ왕의 채는 이 사람에게 달렸음이라 - 이는 다욋 추종자들이 압살롬에게로 돌아오느
냐 오지 않느냐 하는 문제는 순전히 다윗의 생사(生死) 여부에 달린 문제라는 말이다.
다시 말해서 다윗이 죽기만 하면 백성들은 지금 당장이라도 압살름에게로 오게 될 것
이라는 뜻이다(Pulpit,Commentary,keil).

4 압살롬과 이스라엘 장로들이 다 그 말을 옳게 여기더라

ㅇ그 말을 옳게 여기더라 - '옳게 여기더라'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야솨르'
는 '좋아하다', '기뻐하다', '바르게 여기다'는 뜻(삿 14:3,7 민23:27;삼상18:26;시
119:128)인데, 이 단어의 형용사형 '요쉐르'는 '마땅히 행해야 하는'이란
뜻을 내포하고 있다(욥 33:23; 잠 14:2). 따라서 본절이 의미하는 바는 압살롬과 이스
라엘 장로모두가 아히도벧의 말을 기뻐하면서 마땅히 행해야 할 것으로 여겼다는 것임
을 알 수 있다.여기서 우리는 죄로 인해 부패해진 인간들의 이성적 판단이 얼마나 그
릇된 결과를 낳을 수 있는지 절감(切感)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자기의 친아버지 다윗을
죽이자는 제안에 스스럼없이'옳게 여긴' 압살롬이나, 지금껏 섬겨오던 자신들의 왕 다
윗을 쳐죽이자는 제안에 동조한 이스라엘 장로들이나 모두 다 건전한 이성(理性)을 지
녔다고는 도저히 볼 수 없기 때문이다.

5 압살롬이 이르되 아렉 사람 후새도 부르라 우리가 저의 말도 듣자 하니라

6 후새가 압살롬에게 이르매 압살롬이 저에게 말하여 가로되 아히도벨이 여차여차히
말하니 우리가 그 말대로 행하랴 그렇지 않거든 너는 말하라

ㅇ아렉 사람 후새도 부르라 - 압살롬이 후세(Hushai)를 불러 그의 견해를 경청코자
한 사실로 보아 이제 후새는 아히도벧 못지 않게 압살롬으로부터 대단한 신임받고 있
었음을 알수 있다(Lange). 그런데 이와 같은 상황은 다윗을 구원하고자 하셨던 하나님
의 섭리의 결과였음을 결코 간과 해서는 안된다(14절). 왜냐하면 아무것도 아닌 듯이
보이는 압살롬의 이 작은조치 하나로 말미암아 이제 이스라엘의 역사가 뒤바뀌어지기
때문이다(17:14-26).

7 후새가 압살롬에게 이르되 이 때에는 아히도벨의 베푼 모략이 선치 아니하니이다
하고

ㅇ이 때에는 아히도벧의 베푼 모략이 선치 아니하니이다 - 이는 아히도벧의 모략이
지금까지는 올바른 것이었지만 이번 만큼은 잘못된 것이라는 후새의 주장이다. 즉 후
새는 다윗을 위기에서 구하기 위해(15-26절) 아히도벧의 모략(謀略)에 정면으로 반박
한 것이다.

8 또 말하되 왕도 아시거니와 왕의 부친과 그 종자들은 용사라 저희는 들에 있는
곰이 새끼를 빼앗긴 것 같이 격분하였고 왕의 부친은 병법에 익은 사람인즉 백성과
함께 자지 아니하고

ㅇ왕의 부친과 그 종자들은...격분하였고 - 이와 같은 후새의 주장은 다윗이 지금 기
진맥진해 있다고 한 아히도벧의 주장(2절)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것이다. 즉 후새는 아
히도벧의 주장과는 정반대로, 다윗과 그 종자들은 용사(勇士)들이며 지금은 예루살렘
성을 빼앗긴 일로 인하여 격분하고 있다고 말함으로써, 즉시 군사적인 행동을 개시
하자고 주장한(1절) 아히도벧의 모략을 분쇄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다윗의
위급한 상황을 최대한 호도(糊塗)하여 다윗을 위기에서 구하려는 후새의 절실한 노력
을 엿볼 수 있다. 한편, 후새가 본절에서 다윗과 그 종자들을 '새끼를 빼앗긴 곰' 에
다 비유한 것은 의도적이었다. 여기서 곰은 팔레스틴에서 유일하게 발견되는 시리아의
갈색곰을 가리키는데(Wycliffe), 이것은 매우 사나운것으로 이름나 있다(잠 17:12; 호
13:8). 즉 후새는 다윗과 그 종자들을 사나운 시리아의 갈색 곰에다 비유 함으로써
지금 심히 약화된 다윗의 실제 전력(戰力)을 압살롬이 직시하지 못하도록 꾀하였던
것이다(16:14).
ㅇ왕의 부친은 병법에 익은 사람인즉 - 이러한 후새의 주장 또한 기습 공격시 쉽게
승리롤 이끌어낼 것이라고 한 아히도벧의 낙관적인 주장(2절)에 정면으로 맞서는 것이
었다. 즉, 후새는 아히도벧이 아무리 기습 공격을 한다 하더라도 다윗은 병법(兵法)에
뛰어난 사람이므로 승리를 쟁취하는 것이 그리 용이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 것이
다. 그런데 과거 다윗이 사울 왕으로부터 도피할 때 실제로 많은 추격 부대를 여러차
례 따돌린 바 있고(삼상24:1-22;26:1-15), 또한 그가 뛰어난 지략가라는 사실은 이미
압살롬과 그 신하들이 익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후새의 주장은 그들에게 상
당한 호소력(呼訴力)을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Matthew Henry's Commentary, Vol.2,
p.533).

9 이제 어느 굴에나 어느 곳에 숨어 있으리니 혹 무리 중에 몇이 먼저 엎드러지면 그
소문을 듣는 자가 말하기를 압살롬을 좇는 자 가운데서 패함을 당하였다 할찌라

ㅇ혹 무리 중에 몇이 먼저 엎드러지면 - 압살롬이 아히도벧의 모략대로 정예 부대를
파견할 경우(1-4절) 압살롬과 다윗 진영은 사실상 최초의 전투를 벌이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후새는 이 최초의 전투에서 기습 공격에 능한 다윗군에게 압살롬의 군대가 패
배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10 비록 용감하여 사자 같은 자의 마음이라도 저상하리니 이는 이스라엘 무리가 왕의
부친은 영웅이요 그 종자들도 용사인 줄 앎이니이다

ㅇ사자 같은 자의 마음이라도 저상하리니 - 이는 최초의 전투에서의 패배가 몰고올
압살롬 군대의 심각한 사기 저하(士氣低下)를 예상하는 후새의 말이다. 즉 '사자'는
성경에서 대개 두려움을 모르는 용맹스러운 자를 상징하는 바, 여기서는 압살롬의 용
맹스런 군사를 의미한다(1:23;창49:9;사38:13;벧전 5:8). 그리고 '저상하리니'에 해당
하는 히브리어 '히메스 이마스'는 '완전히 녹아버리다' 또는 '완
전히 낙담하다'는 뜻이다(시 22:14;112:10;사 34:3 겔 21:7;나 2:10). 따라서 본절을
해석하면. 아무리 용맹스러운 압살롬의 군사라도 그 마음이 완전히 낙담해 버릴 것이
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같은 후새의 논리는 매우 그럴듯 하다. 왜냐하면 군사전략상
최초의 전투는 전체 전쟁의 승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향 일전(一戰)이기 때문이다. 더
구나 이번에 있을 전투는 압살롬 진영과 다윗진영의 실세(實勢)를 판단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이같이 중요한 최초의 일전에서 압살롬
의 군대가 그일부라도 다윗군의 기습 작전에 말려 들어 패하게 된다면, 그 소문이 온
군대에 퍼져 그들의사기가 크게 저하될 것은 당연했다. 특히 압살롬의 군대는 반란 동
조자들 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난이 실패할 경우 국가의 법에따라 처벌 될 것을 염려
하지 않을수 없었을 것이다.후새는 바로 이와 같은 논리로써, 만약 실패 할 경우 너무
나도 큰 손실을 보게 될 이번의 성급한 출전을 포기하도록 압살롬을 회유(懷柔)하고
있는 것이다.

11 나의 모략은 이러하니이다 온 이스라엘을 단부터 브엘세바까지 바닷가의 많은
모래 같이 왕께로 모으고 친히 전장에 나가시고

ㅇ온 이스라엘을...왕께로 모으고 친히 전장에 나가시고 - 아히도벧의 모략(1-3절)을
대신하는 후새의 대안(代案)이다. 여기서 후새는 이스라엘의 국민병(國民兵)을 온 지
파 에서모집 할 것을 제안한다(Matthew Henry). 이러한 후새의 제안은 압살롬이 국민
병을 모집하느라 시간을 지체하는 동안 다윗 왕으로 하여금 당시의 위급한 상황을 모
면케 하기 위한 교묘한 방책이었다(15-26절). 그런데 이같은 후새의 제안은 자기들이
갖고 있던 모든 힘을 한번 과시해 볼 수 있는 매혹적인 기회라는 점에서 압살롬과 그
신하들의 마음을 끌었다(Clericus).또한 여기서 후새는 압살롬이 이스라엘의 총병력을
이끌고 전장에 나가 진두 지휘(陣頭指揮)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실상 압살롬을 전
장(戰場)에 끌어들이기 위한 계략이다. 즉 반란의 주모자인 압살롬이 전장에 나가서
죽거나 포로가 된다면 반란은 끝이 나기 때문에 후새는 압살롬 자신이 친히 전장에 나
가도록 부추겼던 것이다(18절). 그런데 이러한 후새의 제안은 압살롬의 영웅 의식을
자극하였다. 즉, 거대한 군대를 친히 지휘한다는 것은 섀로운 통치자 압살롬에게 있어
매력적인 것이었음이 틀림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후새의 제안은 압살롬의 마음을 사로
잡기에 충분하였던 것(14절)이다(Payne). 우리는 여기서 압살롬과 그 신하들의 마음을
교묘히 움직여, 당시 상황하에서 최선책(最善策)이었던 아히도벧의 모략을 따르지 못
하도록 하는 후새의 뛰어난 활동을 보게 된다. 그러나 사실 후새의 이러한 계략이 성
공할 수 있었던 것은 어디까지나 하나님께서 배후에서 역사하셨기 때문이다(14절). 즉
하나님께서는 비록 다윗의 죄에 대하여서는 징계할지라도, 그의 생명과 나라는 끌까지
지켜 주시겠다고 약속하셨는바(7;14-16; 12:9-13) 이제 그에따라 다윗을 구원하시기
위하여 아히도벧의 모략을 파하신 것이다.
ㅇ단부터 브엘세바까지 - 단(Dan)은 팔레스딘 최북단에 위치한 성읍으로 일명 '라이
스', '레센'으로도 불리운다(수 19:47). 그리고 브엘세바(Beer-sheba)는 팔레스틴 최
남단에 위치한 성읍으로, 과거 사무엘의 아들들이 사사가 된 곳이다(삼상 8:2). 따라
서 '단에서 브엘세바까지'라는 말은 이스라엘 전국토를 의미하는데(24:2, 15; 삼상
3:20), 본절 역시 그러한 의미이다. 삿 18:29 주석 참조.

12 우리가 그 만날만한 곳에서 저를 엄습하기를 이슬이 땅에 내림 같이 저의 위에
덮여 저와 그 함께 있는 모든 사람을 하나도 남겨두지 아니할 것이요

ㅇ이슬이 땅에 내림 같이 저의 위에덮여 - 여기서 '덮여'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누아
흐'는 '앉다'는 뜻으로 이슬이 내려앉는 것 외에도 황충(蝗蟲)의 떼가 농작
물을 갉아먹는 모습(출 10:14), 혹은 파리떼나 꿀벌떼가 먹이를 공격하는 모습을 묘사
하는 데 사용되었다(사 7;19). 따라서 본절은 엄청난 다수로써 소수를 몰아붙이는 인
해 전술(人海戰術)을 가리키는 비유적 표현임을 알 수 있다(Wycliffe). 그런데 후새가
제안한 이러한 전술은 많은 시간을 요하는 전술로서, 일찍이 제시됐던 소수의 민첩한
정예 부대를 파견하여 순식간에 다윗을 살해하자는 아히도벧의 모략(1, 2절)과는 정반
대 되는 것이다.

13 또 만일 저가 어느 성에 들었으면 온 이스라엘이 줄을 가져다가 그 성을 강으로
끌어들여서 그곳에 한 작은 돌도 보이지 않게 할 것이니이다 하매

ㅇ저가 어느 성에 들었으면...그곳에 한 작은 돌도 보이지 않게 할 것이니이다. 다윗
이 요행히도 성 안으로 도피할 경우 밧줄로 그 성과 시설물들을 묶어 모조리 강으로
끌어내리자는 뜻이다. 물론 이는 과장된 표현이다. 즉 여기서 후새는 이스라엘 대중의
힘을 과장하여 표현함으로써, 인해 전술로는 불가능한것이 없다는 자신의 제안(11,12
절)을 더욱 그럴듯하게 보이려 한 것이다(Keil and Delitzsch Commentary, Vol.2,
p.431).

14 압살롬과 온 이스라엘 사람들이 이르되 아렉 사람 후새의 모략은 아히도벨의
모략보다 낫다 하니 이는 여호와께서 압살롬에게 화를 내리려 하사 아히도벨의 좋은
모략을 파하기로 작정하셨음이더라

ㅇ압살롬과 온 이스리엘 사람들이...아히도벧의 모략보다 낫다 하니 - 압살롬과 그의
추종자들이 당시로서는 최고의 전략이었던 아히도벧의 모사(1-3절)를 거부하고, 그보
다 열등한 전략이었던 후새의 모사를 받아들이는 장면이다. 이는 압살롬 진영의 치명
적인 실책(失策)이었다. 여기서 이러한 압살롬의 치명적인 실책의 원인을 분석해 보면
두어 가지로 요약할수 있다. 압살롬이 앞으로의 정세를 지나치게 낙관하였기 때문
이다. 즉, 압살롬은 앞으로도 다윗의 세력은 미미할 것이나 자기의 세력은 국민병의
모집으로 인해(11절) 크게 획장될 것 이라고 낙관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실상은 그의
낙관과는 달리 다윗에게는 뜻하지 않은 군사적 원조가 들어왔으나(27-29절) 압살롬은
거국적인 국민병 모집에 실패하였던 듯하다(Keil,lange). 압살롬이 후새의 아첨에
우쭐 하였기때문이다. 즉, 그는 이스라엘 총병력의 지휘자가 되라는 후새의 아첨(11
절)에 그만 마음을 빼앗기고 직관력(直觀力)을 상실하고 만 것이다(Payne). 이와 같은
사실에서 우리는 압살롬의 통치 능력(統治能力)의 부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항상
자만심에 빠지지 않은 다윗의 자세와는 현저히 비교된다(5:19, 23).
ㅇ여호와께서...작정하셨음이더라 - 아히도벧의 모략이 파기되는 대신 후새의 모략이
채택되는 것과 같은 결정적인 사태의 변화가 결코 우연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
의 결과였음을 보여 주는 구절이다. 즉 하나님께서는 모략과 술수가 팽배하던 압살롬
의 군사 회의에 마치 친히 참석하셨던 것과도 같이 역사하사 악인들의 불의한 모략을
결국 파하시고 만 것이다. 이런 점에서도 우리는 하나님의 임재와 역사하심이 의인에
게는평안과 복을 뜻하지만 악인에게는 파멸과 심판을 의미할 뿐임을 재삼 획인할 수
있다(요 1:14; 14:16).

15 이에 후새가 사독과 아비아달 두 제사장에게 이르되 아히도벨이 압살롬과
이스라엘 장로들에게 여차여차히 모략을 베풀었고 나도 여차여차히 모략을 베풀었으니

ㅇ후새가 사독과 아비아달 두 제사장에게 이르되 - 사독(Zadok)과 아비아달
(Abiathar)은 모두 이스라엘의 대제사장으로서, 앞서 압살롬의 난을 피해 도피하는 다
윗 왕과 함께 동행하려 했으나 다윗 왕이 압살롬의 정세를 캐내도록 예루살렘으로 돌
려보낸 자들이다(15:24-29). 따라서 후새는 이제 이들을 통하여 중요한 정보를 다윗에
게 빼돌리기 위해 이들과 접촉하고 있는 것이다.
ㅇ나도 여차여차히 모략을 베풀었으니 - 후새는 두 제사장들에게 아히도벧의 모사
(1-3절)는 물론 자신이 압살롬에게 베푼 모사의 내용(7-13절)까지도 전달해 준다. 이
와 같이 후새가 자신의 모사를 사독과 아비아달에게 알려준 것은 다윗으로 하여금 앞
으로 압살롬의 전술에 맞설 적절한 작전을 세우도록 하기위함 이었음이 분명하다
(18:1-5).

16 이제 너희는 빨리 사람을 보내어 다윗에게 고하기를 오늘 밤에 광야 나룻터에서
자지 마시고 아무쪼록 건너 가소서 하라 혹시 왕과 그 좇는 자들이 몰사할까 하노라
하니라

ㅇ오늘밤에 ... 건너가소서 - 여기서 '오늘밤'은 다윗이 예루살렘에서 피신해 나오고
압살롬이 예루살렘에 들이닥친 바로 그날밤을 의미한다. 1절 주석참조. 그런데 후새가
여기서 그날 밤 다윗더러 요단 강을 건너라 일러준 것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함
이었다. 즉, 후새는 압살롬으로 하여금 아히도벧의 계략을 따르지 못하도록 이미 그럴
듯한 모사를 베풀었고(7-13절) 또한 압살롬과 그 신하들이 자기의 모사에 동의한 사실
도 알고 있었지만(14절), 아직 최후 결정이 내려진 상태가 아니었기때문에 일말의 불
안감을 가지고 다윗에게 빨리 강 건너 요단 동편 땅으로 피신하라고 통보하였던 것이
다(The Interpreter's Bible,Keil, Payne).

17 그 때에 요나단과 아히마아스가 사람이 볼까 두려워하여 감히 성에 들어가지
못하고 에느로겔 가에 머물고 어떤 계집종은 저희에게 나와서 고하고 저희는 가서
다윗에게 고하더니

18 한 소년이 저희를 보고 압살롬에게 고한지라 그 두 사람이 빨리 달려서 바후림
어떤 사람의 집으로 들어가서 그 뜰에 있는 우물 속으로 내려가니

ㅇ한 소년이 저희를 보고 압살롬에게 고한지라 - 여기서 '한 소년'은 글자 그대로
'어린 소년'을 의미 한다기 보다는 압살롬이 다윗의 은밀한 첩보 활동(諜報活動)을 차
단하기위해 풀어놓은 첩자(諜者)라고 보아야 한다(Pulpit Commentary,Keil). 이같은
사실은 이 소년이 자신이 목격한 사실을 압살롬에게 고했다고 하는 사실에서 알 수 있
다. 또한 '소년'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나아르'가 성경에서 '부하', 또는
'종자'(從者)라는 의미로도 많이사용된 점이 이를 뒷받침 해준다(18:15; 삿7:10,11;
8:14; 느4:16,22,23; 5:10,15,16; 6:5). 한편 이러한 압살롬의 첩자의 눈에비친 요나
단과 아히마아스의 행동은 이 첩자의 의혹을 받기에 충분하였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
들은 제사장들인데도 불구하고 성막이 있는 예루살렘(6:12-19)을 떠나 성 밖에 느로겔
가에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은 남달리 긴장된 모습을 하고 있었으며 신분이 다른
하층계급의 계집종과 은밀히 내통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첩자는 이들을 다
윗의 연락원 으로 단정하고 압살롬에게 즉각 이 같은 사실알렸던 것이다.
ㅇ바후림 어떤 사람의...우물 속으로 내려가니 - 바후림(Bahurim)은 예루살렘에서 감
람산을 넘어 요단강으로 내려가는 길목에 위치한 곳이다. 16:5 주석 참조. 일찍이 이
곳은 다윗 왕이 압살름으로부터 도피할 때 시므이로부터 혹독한 저주를 받았던 곳이기
도 하다. 그러나 이번에는 같은 장소에서 다윗의 연락원들이 한 여인으로부터 귀중한
도움을 받고 있는것이다. 한편, 바후림의 여인이 요나단과 아히마아스를 숨겨 주었던
'우물'은 물을 저장해놓는 수조(水槽)를 의미하는 듯하다. 왜냐하면 물이 귀한 팔레스
틴 지방에서는 집집마다 수조를 설치해 놓고 거기다 물을 길어 저장하던 것이 보통이
었기 패문이다. 추측컨대 아마도 당시는 때마침 건기(乾期)여서 수조가 비어 있는 상
태였기 때문에, 요나단과 아히마아스는 그곳에 안전하게 숨을 수 있었을것이다(Pulpit
Commentary,Keil). 아무튼 이들이 수조 속에 숨었다는 사실은 당시의 상황이 얼마나
위급했었는가 잘 보여준다(Hertzberg).
ㅇ요나단과 아히마아스가...머물고 - 요나단 (Jonathan)과 아히마아스(Ahimaaz)는 대
제사장 아비아달과 사독의 아들들이며 제사장들이었다(15:27). 이들은 현재 사독과 아
비아달이 캐낸 예루살렘 성내의 정보를 받아 다윗에게 연락하는 임무롤 부여받고 있었
다(15:36). 따라서 이들은 이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는 예루살
렘 성 밖에서 정보가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이들은 '에느로겔 가에
머물렀다'고 기록되었는데 여기서 '머물고'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아마드'는
'서있었다'는 뜻이다(창 19:27; 신 4:10; 19:17;삼상:19:3; 왕하 5:11 시106:23; 사
61:5; 호 10:9).따라서 우리는 여기서 요나단과 아히마아스가 연락원으로서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긴장한 가운데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정
녕 다윗이 압살롬의 반역이라는 위기 상황을 무사히 극복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
같이 그늘에서 말없이 그리고 충직하게 봉사한 헌신적인 일꾼들이 있었기 때문임은 새
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ㅇ에느로겔 - 요나단과 아히마아스가 대기하고 있던 에느로겔(En-rogel)은 `방랑자의
샘', 또는 `풍성한 샘' 이라는 뜻이다. 이샘은 예루살렘 남동쪽의 기드론 골짜기
(15:23)에 위치하였는데, 수맥(水脈)이 골짜기의 지하수층(地下水層)에까지 연결되어
있어서 강우량이 많은 겨울철에는 지하수가 분출하여 골짜기로 흘러 넘치곤 하였다.
따라서 그 이름과 같이 오고가는 나그네들은 이곳에서 충분한 안식을 취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한편 혹자는 에느로겔이 '욥의 우물'과 같은 것으로 추정하기도 하는데
(Keil,Pulpit Commentary), 오늘날의 `비르 아이읍'(Bir Ayyub)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
다.
ㅇ어떤 계집종은 저희에게 나와서 고하고 - 여기서 '계집종'이란 말 앞에는 정관사
(定冠詞) '하'가 붙어있다. 히브리 문법에서 정관사는 종종 특별한 임무를 위해
선택된 자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곤 하는데 본절의 경우 역시 바로 이에 해당한다.
즉 본절에 등장하는 계집종은 사독과 아비아달이 요나단과 아히마아스에게 중요한정보
(15,16절)를 전달하기 위해 임무를 맡겨보낸 특별한 종인 것이다(Wycliffe, lange).
한편,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당시에도 계집종은 가사(家事)를 돌보거나 물을 길어오는
일 등을 주로 하였다. 따라서 이 계집종은 아무런 의심도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에느로
겔에 나올 수가 있었을 것이다. 즉, 이 계집종은 물을 길으러 나오는 척하면서 요나단
과 아히마아스에게 쉽게접근할 수 있었을 것이다.

19 그 집 여인이 덮을 것을 가져다가 우물 아구를 덮고 찧은 곡식을 그 위에 널매
도무지 알지 못할러라

ㅇ덮을 것을 가져다가...그 위에 널매 - 여기서 '덮을 것'이란 수조의 뚜껑을 의미한
다. 그리고 그 위에 널어놓은 '찧은 곡식'이란 아마도 '껍질깐 보리'(잠 27:22)를 의
미하는듯하다(Keil, Pulpit Commentary). 아무튼 여인의 이같은 행동은 마치 곡식을
햇볕에 말리기나 하는 듯이 뚜껑 위에 널어놓음으로써, 아무도 수조속에 사람이 숨어
있는 것을 눈치채지 못하게 하기 위한 기만책(欺瞞策)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여인
의 행동은 자기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감행한 모험이 아닐 수 없었다. 이는 곧 가나
안 정탐꾼들을 숨겨준 라합의 용기를 연상시킨다(수 2:4-6). 한편. 만일 이 여인의 이
와 같은 도움이 없었더라면 요나단과 아히마아스 두 사람은 물론이거니와 요단 강 나
룻터에 있던 다윗과 그 일행 또한 모조리 몰살당하는 위험에 처했을 것이다(21,22절;
15:2).

20 압살롬의 종들이 그 집에 와서 여인에게 묻되 아히마하스와 요나단이 어디 있느냐
여인이 가로되 그들이 시내를 건너 가더라 하니 저희가 찾아도 만나지 못하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가니라

ㅇ그들이 시내를 건너 가더라. 여기서 '시내' 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미칼 하마임'
작은 시내' 또는 '개울'을 뜻하는 말이다.따라서 이는 기드론 시
내(15:28)가 아닌 바후림 근처의 작은 시내를 가리키는것 같다(Pulpit Commentary).

21 저희가 간 후에 두 사람이 우물에서 올라와서 다윗왕에게 이르러 고하여 가로되
당신들은 일어나 빨리 물을 건너 가소서 아히도벨이 당신들을 해하려고 여차여차히
모략을 베풀었나이다

ㅇ빨리 물을 건너가소서 - 여기서 '물'은 요단 강을 가리킨다. 요나단과 아히마하스
는 바후림에서 구사 일생하여 요단 나룻터(15:28)에 이른 후, 다윗 왕에게 압살롬의
추격을 피해 빨리 요단 강을 건너 안전한 곳으로 피신하라는 후새의 건갈(15, 16절)을
전해 준 것이다.

22 다윗이 일어나 모든 백성과 함께 요단을 건널쌔 새벽에 미쳐서 한 사람도 요단을
건너지 못한 자가 없었더라

ㅇ새벽에 미쳐서... 건너지 못한 자가 없었더라 - 이처럼 밤 사이에 다윗과 그의 온
일행이 요단 강을 건넜다는 사실은 군사 전략상 다음과 같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
었다. 이는 무엇보다 먼저 아히도벧의 모략이 실패로 돌아간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
면 아히도벧의 모략은 다윗이 요단 강을 건너기 전에 그를 급습하여 살해하자는 것(1,
2절)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다윗이 요단 강을 건넜다는 것은 일단 압살롬으로부터의
위기를 모면하였을 뿐만아니라 군사력을 재정비할 시간적인 여유를 가질 수 있게 되었
다는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다윗의 요단 강 도하(渡河) 사건은 완전한 성공을 눈앞에
두었던 압살롬의 반역 일정(日程)을 완전히 바꾸어 버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것이다.

23 아히도벨이 자기 모략이 시행되지 못함을 보고 나귀에 안장을 지우고 떠나
고향으로 돌아가서 자기 집에 이르러 집을 정리하고 스스로 목매어 죽으매 그 아비
묘에 장사되니라

ㅇ아히도벧이...스스로 목매어 죽으매 - 압살롬의 모사(謨士)인 아히도벧이 이처럼
스스로 죽음의 길을 택한 것은. 무엇보다도 앞로의 사태를 예견하는 뛰어난 능력이
그에게 있었기 때문이었다. 즉, 아히도벧은 자신의 모략이 실패로 돌아가자 이제 압살
롬 정권의 연한이 다하였음을 감지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그는 자신의 모략이 선택되
지 못한 것에 대한 서글픔과, 앞으로 다윗 왕에게 당하게 될 자신의 비참한 처후에 대
한 공포심과 수치심에 못이겨 자살의 길을 택하고 말았던 것이다(Lange). 한편, 이러
한 아히도벧의 죽음은 무엇보다 다음과 같은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큰 사건이었다. 즉
아히도벧의 죽음은 압살롬이 이제부터는 다윗왕을 이길 만한 좋은 계략을 더 이상 얻
을 수없게 되었다는 불리한 상황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온갖 지혜를 동원하여야
할 반란군의 입장에서는 대단히 치명적(致命的)인 손상이 아닐 수 없었다. 따라서 아
히도벧의 죽음은 곧 압살롬의 죽음(18:9-15)을 예고하는 서막(prelude)이었던 것이다
(Hertzberg). 이상과 같은 사실에 의거할 때 결국 아히도벧의 죽음은 다윗의 간절한
기도(15:31)가 최종적으로 응답된 것이며 불의한 자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 이루어진
것이라는 의의를 지닌다(Lange). 이처럼 아히도벧의 자살은 불의한 자의 비참한 말로
를 보여주는 좋은 예로서, 우리는 이와 비슷한 유형을 훗날 가룟 유다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다(마 27:5; 행 1:18).
고향으로 돌아가서 - 아히도벧의 고향은 유다 산지에 위치한 성읍 길로(Goloh)이
다. 15:12 주석 참조.

24 이에 다윗은 마하나임에 이르고 압살롬은 모든 이스라엘 사람과 함께 요단을
건너니라

ㅇ마하나임 - 한때 이스보셋 왕국의 수도였던 마하나임(Mahanaim)은 갓 지파와 므낫
세 반(半) 지파의 기업 경계(基業境界)에 위치해 있었다(2:8 주석참조). 따라서 이곳
은 군사 모집에 유리한 이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성벽과 성문이 있는 요새화된 성읍
이었기 때문에(18:24) 다윗의 임시 정부의 거점(據點)으로서 안성 마춤이었다. 한편,
이곳은 과거 야곱이 천사들을 만나 복을 받았던 유서깊은 성읍인데(창 32장), 이제 다
윗도 이곳에서 야곱처럼 하나님이 보내신 세 사람의 도움(27-29)을 받게 된다(C.J
Goslinga).
ㅇ압살롬은 모든 이스라엘 사람과 함께 요단을 건너니라 - 이는 압살롬이 이스라엘의
국민병을 모집하여 인해진술을 사용하자는 후새의 제안(11절)을 따랐음을 보여 주는
구절이다. 따라서 압살롬이 대군을 이끌고 요단 강을 건너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렸
을 터인데, 그동안에 다윗은 반격의 태세를 갖추었음이 분명하다(18:1-5). 한편 압살
롬이 이처럼 친히 대군을 이끌고 요단 강을 건넜다는 것은 이제 그가 두 가지 불리한
입장에 서게 되었음을 뜻한다. 그중 하나는 다윗 진영이 요새화된뒤 마하나임에 안전
한 본부를 둔 반면에 압살롬 진영은 무방비 상태의 들에 진을 처야 했다는 점이다. 그
리고 다른 하나는 다윗 왕이 마하나임 성읍에서 군사를 지휘한 반면(18:3) 압살롬은
직접 전쟁에 나섬으로써 다윗 왕보다 훨씬 더 죽음의 위험이 컸다는 점이다(Payne).그
런데 이는 바로 후새가 의도하딘 바였다. 즉 후새는 바로 이러한 상황을 유도해 내려
고 압살롬에게 아히도벧의 것(1-3절)과는 반대되는 모사를 베풀었던 것이다(11절).

25 압살롬이 아마사로 요압을 대신하여 군장을 삼으니라 아마사는 이스라엘 사람
이드라라 하는 자의 아들이라 이드라가 나하스의 딸 아비갈과 동침하여 저를 낳았으며
아비갈은 요압의 어미 스루야의 동생이더라

ㅇ아마사 - 다윗의 조카이자 요압의 사촌이다(대상 2:13-17). 따라서 그나 압살롬과
는 고종 사촌간이다. 혹자는 아마사(Amasa)가 다윗의 30인 용사의 두목인 아마새
(Amasai, 대상 12:17,18)와 동일 인물이라고 주장하나(Eald, Bertheau, Pulpit
Commentary), 확실치는 않다. 한편 아마사는 압살롬 사후에 다윗의 군장(軍長)이 되었
으나 기회주의자인 요압에게 살해당하였다(20:10).
ㅇ이스라엘 사람 이드라 - 아마사의 아버지인 이스라엘 사람 이드라(Ethra)는 대상 2
:17에서는 '이스마엘 사람 예델' 이라고 소개되어있다. 여기서 '예델'(Jether)은 '이
드라'의 축약형 이라고 볼 수 있다(Pulpit Commentary). 그런데 우리는 여기서 이드라
가 과연 '이스마엘' 사람인지 아니면 '이스라엘' 사람인지 분명히는 알 수 없다. 하지
만 대상2:17의 기록대로 그는 이스마엘 사람인 것 같다. 왜냐하면 구약 성경에서는 외
국인이 아닌 경우에는 결코 그 사람의 국적을 밝히지 않기 때문이다(The
Interpreter's Bible). 이렇게 볼 때 이드라는 이스마엘 사람인 것이 분명해지는데,그
렇다면 그를 이스라엘 사람이라고 한 본절의 기록은 무엇인가? 이에 대해 대개의 학자
들이 이드라가 이스마엘 사람이었으나 이스라엘 여인(아비갈)에게 장가들어 붙여진 명
칭이라고 주장한다(Hertzberg). 즉. 이드라는 본래 이방인 이었으나 아내와의 연고(緣
故)로 이스라엘인으로 국적을 바꾼 외국인(게르)이었다는 말이다.
ㅇ나하스의 딸 아비갈 - 아비갈(Abigal)은 일명 아비가일(Abigail)로도 불리웠는데
곧 다윗이 누이인 스루야와 자매지간이다(대상 2:16). 그러나 나하스 (Nahash)가 누구
인가에 대하여서는 분명히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학자들은 여러 주장들을 너세우
고 있는데 곧 다음과 같다. 나하스는 아비갈의 첫 남편이었다는 견해이다
(Hertzberg, Michaelis, schultz). 그러나 이는 아비갈이 나하스의 딸(daughter)이라
고 분명히 못박고 있는 본절과 상치된다(공동번역). 나하스는 다윗의 아비 이새의
둘째부인이었다는 견해이다(Movers, Thenius). 그러나 히브리 사회에서 `나하스'
(자마)란 이름은 어디까지나 남자의 이름일 뿐이었다(Pulpit Commentary). 나하스
는 이새의 별명이었다는 견해이다(Kimchi, Pulpit Commentary). 그러나 본서 저자가
혼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위험을 무릅쓰면서까지 이새의 별명을 명기(明記)한 까닭
이 석연치 않으며. 또한 나하스가 이새의 별명이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근거가
없다(Keil). 이상에서처럼 기금껏 제시되고있는 학자들의 견해 중 어느 정도라도 타당
성을 지닌 견해는 아직 없다. 그러면 과연 나하스는 누구일까? 이에 대하여 우리는 본
절 자체에서 중요한 단서를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곧 본서저자가 나하스의 딸 아비
갈을 스루야의 동생으로 소개하고 있는 점이다. 즉, 여기서 저자는 왜 아비갈을 직접
적으로 다윗의 누이라고 소개 하고 있지 않는가 하는 점이다. 그것은 분명 아비갈이
다윗의 완전한 동생(full sister)이 아니기 때문이었음을 증거해 준다. 즉, 아비갈은
스루야와는 완전한 자매지간이었으나 다윗과는 아버지가 다르고 어머니만 같은 이부동
복(異父同服)의 관계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서 저자는 아비갈을 다윗과의 관계에서 보
다는 스루야와의 관계에서 소개하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본절의 문자 그대로 나하스는
아비갈의 아버지임이 분명한 것이다. 때문에 공동 번역도 나하스를 가리켜 아마사의
외조부(外祖父)로 언급하고 있는것이다.

26 이에 이스라엘 무리와 압살롬이 길르앗 땅에 진 치니라

ㅇ압살롬이 길르앗 땅에 진 치니라 - 여기서 압살롬의 군대 장관 아마사(25절)의 이
름이 빠져 있고 대신 압살롬의 이름이 기록된것으로 보아 길르앗 땅에 진친 이스라엘
병력을 압살롬이 직접 진두 지휘하였음을 알 수 있다(Hertzberg). 따라서 이제 압살롬
은 그를 위험에 처하게 하려 한 후새의 계략에 말려든 셈이다. 11절 주석참조.

27 다윗이 마하나임에 이르렀을 때에 암몬 족속에게 속한 랍바 사람 나하스의 아들
소비와 로데발 사람 암미엘의 아들 마길과 로글림 길르앗 사람 바르실래가

ㅇ랍바 사람 나히스의 아들 소비 - 소비(Shobi)는 암몬의 전왕(前王) 나하스의 아들
이며 하눈의 동생이다(10:1 주석 참조). 그가 이제 다윗에게 와서 도움을 준 것으로
보아, 그는 자기의 형 하눈과는 달리 자기 아버지 나하스와 다윗 왕 간의 친분 관계를
기억하고 다윗과의 교제를 유지하려 한 듯하다(Ewald). 아니면 그는 랍바 성이 정벌당
한 후(12:26-31) 다윗에 의해 어느 지역의 통치자로 임명받았을 가능성이 높다(The
Interpreter's Bible).
ㅇ로데발 사람 암미엘의 아들 마길 - 마길(Machir)은 일찍이 요나단의 아들 절뚝발이
므비보셋을 보호해 준사람이다(9:4). 아마도 그는 지난날 므비보셋에게 큰 사랑을 베
풀었던 다윗의 호의를 기억하고 지금 다윗을 도우러 왔을 것이다(Pulpip Commentary,
Payne). 즉 그는 다윗의 인격에 감명을 받은 한 사람으로서, 이제 위기에 빠진 다윗을
생각하고 그를 도왔던 것이다.
ㅇ로글림길르앗 사람 바실래 - 로글림(Rogelim)은 길앗의 한 성읍인 바, 바실래
(Barzillai)는 이 성의 거부였다(19:32). 이 사람이 다윗을 도우러 온 이유에 대하여
서는 확실히 알 길이 없으나, 아마도 다윗 왕의 훌륭한 통치에 대한 감사의 표시였을
가능성이 높다(Payne). 즉 길르앗(Gilead)은 요단 강동편의, 북으로는 야르묵 강에서
남으로 아르논 강 사이에 있는 광활한 땅인 바아람 사람들의 침략이 용이한 지역이었
다. 삿 5:17 주석 참조. 그러나 이제 다윗의 강력한 군사 행동으로 말미암아 이 지역
은 평화를 유지할 수 있었다(8장). 따라서 이 지역의 부호들은 다윗 왕의 강력한 통치
에 상당히 감사하고 있었을 것이라고 우리는 층분히 상상할 수 있는것이다. 한편 이상
과 같이 다윗에게 나아온 사람들은 모두 다윗 왕의 인격이나 통치력에 감복(感服)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다윗이 평소에 얼마나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으로써 백성을 다스리려
힘썼는지를 충분히 짐작케 해준다(8:15).

28 침상과 대야와 질그릇과 밀과 보리와 밀가루와 볶은 곡식과 콩과 팥과 볶은
녹두와

29 꿀과 뻐더와 양과 치스를 가져다가 다윗과 그 함께한 백성으로 먹게 하였으니 이는
저희 생각에 백성이 들에서 시장하고 곤하고 목마르겠다 함이더라

ㅇ침상...치스를 가져다가 - 이처럼 소비, 마길, 바실래가 다윗 일행에게 제공한 물
건들은 전쟁을 준비하는 병사들에게 아주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필수품(必需品)들이
었다. 그중 여기서 침상(미쉐캅)은 담요 등의 침구를 가리킨다. 그리고
'대야'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사폿트'는 본래 대접이란 뜻이나, 여기서는
야외용 가마솥을 의미하는 듯하다(Lange, Keil). 또한 `볶은 곡식'과 `볶은 녹두'는
히브리 원어에서는 모두 같은 단어인`칼리'인 바, 추추컨대 이는 각기 다른
곡식들을 복은 것을 가리키는 듯하다(Lange, Pulpit Commentary). 아무튼 황급히 피신
길에 나서느라 제대로 행장(行裝)을 갖추지 못했던 다윗 일행(15:13-18)에게 이처럼
풍성한 구호물이 제공된 것은. 다윗을 지켜 보호하리라하신 하나님의 사랑과 신실하심
의 결과가 아닐수 없다(7:8-16).

출처 : 춘천 대우인력 김진규
글쓴이 : 대우인력 김진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