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일본교회, 한국교회에 대해 사죄서한 발송. | 북한공산당국, 평양신학교 강제폐쇄. | 숭의여중고·寶成여중고 서울서 재개교. | 공산군 불법남침으로 교회수난 극심, 교회 지도자 다수 참살·납치. | 대통령특명으로 군목제도 실시. |
| |
| 04. 보스톤 마라톤대회 1,2,3위. | 05.30 2대 국회의원선거. | 09.15 UN군 인천상륙. | 09.28 서울탈환. |
| | |
| 1951 | 01.17 | 02.28 | 05.08 | 05.24 | 06.21 | 11.01 |
| |
| 피난신도 3만여명, 제주도, 거제도로 집단피난. | 제1차 육군군목 후보생 40명 입대. | 성결교 창립60주년 기념식 | 장로교 총회, 직영신학교 설립 결의. | 부산복음병원 개원(원장 張基呂박사). | 감리교 특별총회, 감독에 柳瀅基목사 선출. |
| |
| 03.27 6·3·3·4학제 실시. | 07.10 휴전회담 열림(개성). |
| | |
| | |
| 교회재건운동 본격적으로 전개. | 중화기독교 한성교회 정동에 창립. | 한국기독실업인회 창립(회장 黃聖秀). | 공군에 군목제도 실시, 국방부 군목실 창설. | 한글맞춤법 통일안에 따른 성서출판 시작. | 한국기독장교회(OCU) 창립. | 빌리 그래함박사, 서울·부산 전도대회. |
| |
| 1. 이승만대통령, 平和線 선포. | 1.31 피난민 총수 700만명으로 | 집계. | 10.3 아이젠하워 대통령당선. |
| | |
| 1953 | 02 | 06.10 | 05 | 06 | 06.15 | 12.25 |
| |
| 한국복음주의동맹 선교회(TEHM) 창립, '생명의 말씀'사 설립. | 한국기독교장로회 분립. | 거제도 포로수용소 선교 효과 큼. | 침례교신학교 대전에 설립. | 구국기독교 신도대회 개최(부산), 휴전반대 표명. | 한국기독시보 창간. |
| |
| 2. 독도영유권 성명. | 5.7 마리아 앤더슨 내한공연. | 6.18 반공포로 석방. |
| | |
| | |
| 대구계명대학교 개교. | 숭실대학 폐교후 16년만에 서울서 개교. | 장로회 제39회 총회, 무교회面 500개소에 교회개척 결의. | 기독교 방송국 개국. | 통일교문제로 연대·이대 교수·학생 면칙·퇴교 파동. |
| |
| 5. 통일교정식등록 | (세계 기독교 통일 신령협회). |
| | |
| 1955 | 02 | 02.28 | 04.22 | 05.20 | 07.04 | 10 |
| |
| 퀘이커교, 한국에서 활동개시. | 관동대학, 강릉에서 개교. | 장로교, 태국에 선교사파견(崔贊永·金順一목사). | 기독교장로회, 캐나다연합교회와 제휴. | 통일교주 文鮮明 구속. | 재단법인 기독교아동복리회 설립. |
| | | | |
| | |
| 이승만대통령, 정동감리교회장로 피선. | 빌리 그래함박사 내한, 대전도집회. | 한국복음주의방송국(현 극동방송) 개국. | 박태선장로·나운몽장로 이단파문. |
| |
| 5.12 TV방송 개시. | 10.23 헝가리 반공의거. |
| | |
| | |
| 한국救癩전도협회 창립. | '기독교사상' 창간. | 한국대학생 선교회(CCC) 창립. |
| |
| 5. 어린이헌장 공포. | 7.1 유엔군사령부 동경에서 | 서울로. |
| | |
| | |
| 한국 가정문서 선교회(EHC) 창립. | 루터교선교사 입국. | 이화여대에 기독교학과 설치. | 영등포 도시산업 연합회 창립. | 대학생 선교활동 본격화. | 박태선장로 구속. |
| | | | |
| | |
| 한국기독교 평신도 엽합회 창립. | 장로교 제40회 총회, 통합·합동으로 분열. | 장로교, WCC 탈퇴. |
| |
| 1. 쿠바혁명. | 3.22 티벳 반공의거. | 12.4 재일교포 북송1진 출발.
|
|
|
|